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설의 초콜릿 발명가의 비밀 웡카의 초콜릿 수학 공장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세계 최대, 최고의 초콜릿 공장 ‘웡카의 공장’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이곳은 지난 20년간 누구에게도 공개한 적이 없는 특별한 공장입니다. 저 윌리 웡카가 개발한 초콜릿 세상에서 여러분은 그동안 어디서도 보지 못한 광경을 보게 될 겁니다. 후후, 그럼 함께 가실까요? 연관기사Intro. ...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붕붕 주스’ ‘붕붕 드링크’ ‘박카리스’ ‘붕붕 그레이트 스웨트’ ‘카페인 뱅뱅’.요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각성 음료 레시피다. 에너지음료에 자양강장제, 비타민 C, 이온 음료 등을 함께 넣어 마시는 ‘칵테일’형 에너지음료가 새로운 각성 음료로 회자되고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영화 ‘타이타닉’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로즈가 바닷속으로 던져버린 블루 다이아몬드 목걸이를기억하는가. 이 목걸이는 ‘대양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호프 다이아몬드(Hope diamond)를 모태로 만들어졌다.호프 다이아몬드는 진한 청색을 띠는 블루 다이아몬드로, 소유한 사람에게 죽음을 가져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데 성공했죠. 지금까지 소행성을 스쳐 지나가거나 표면에 잠시 접촉해 시료를 채취한 적은 있었지만, 소행성 표면에 인간이 만든 물체가 직접 닿은 것은 미네르바가 처음입니다. 미네르바는 로버-1A와 로버-1B의 2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육각형 통 모양에 지름 18cm, 높이 7cm, 무게 1.1kg의 작은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밀 게놈이 최근에야 완성됐다는 소식에 의아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량이 밀보다 훨씬 적은(전 세계 기준) 벼는 2005년 게놈이 완성됐고, 늦었다는 옥수수와 보리마저도 2009년과 2017년에 해독을 마쳤는데 말이다. 첫 번째 이유는 밀 게놈은 해독하기 불가능에 가까운 ‘괴물’이기 때문이다. 게놈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 ...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익숙한 것은 아닙니다. ‘적분? 나 그거 알아. 아주 쉬워!’라고 말하는 경우를 본 적은 없으니까요. 하지만 사실 그 원리로 들어가면 아주 단순명쾌하다고 느낄지도 모릅니다. 준비물은 별 것 없습니다. 그저 모눈종이와 초코볼이면 됩니다.직사각형이나 원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은 모두 잘 알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월 3일 개봉한 영화 ‘베놈’과 25일 개봉한 영화 ‘창궐’. 전자는 악당인 ‘안티 히어로’가 등장하는 블록버스터 영화이고, 후자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좀비 영화다. 공통점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을 것 같은 두 영화. 하지만 두 작품 모두 인간을 감염시켜 숙주로 삼는 미지의 기생 생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월 11일, 유인우주선 소유스 MS-10을 싣고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로켓이 오작동으로 추락했다. 소유스에 탑승했던 러시아와 미국 우주비행사 2명은 비상 탈출했지만, 이번 사고로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하는 유일한 통로가 끊기면서 ISS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 ISS에는 3명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노력했는데 시험 성적은 잘 나오지 않는 경험. 모두 한 번쯤은 겪어봤을 겁니다. 반복해서 외웠는데 막상 시험지 앞에서는 외운 게 헷갈리고, 또 문제의 요점이 보이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공부 방법은 각자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 성적이 좋은 학생들을 살펴보면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