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에 담그고 ‘쭉’ 빨아 당기면 쉽게 물을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혀는 양
옆
이 위로 말려 올라가 물이 지나가는 수로 역할을 한다. 물론 물이 너무 얕을 경우는 혀를 이용해 핥아 먹는 수밖에 없다.코끼리는 당연히 긴 코를 이용해 물을 마신다. 코로 물을 쭉 당긴 뒤 코 끝을 입에 가까이 ... ...
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3만 마리가 있던 우리 벌통에는 지금 1만 마리가 채 남아 있지 않아요.우리 바로
옆
에 있는 벌통의 소식을 들었어요. 5일 먼저 병에 걸린 곳이에요. 왁스로 된 벌집은 꿀이 차지 않아 푸석푸석하게 말랐고 미처 내다 버리지 못한 애벌레들이 집 안에서 부패해서 솜뭉치처럼 변했어요. 벌집엔 하얗게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특히 같은 종이한 데 모여 있으면 병원체 입장에서는 천국이다. 감염할 숙주가 줄줄이
옆
에 대기하고 있어 병을 퍼뜨리기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국립수의과학감역원 꿀벌질병관리센터는 지난 5월 낭충봉아부패병에 걸린 애벌레 한 마리가 어른 벌 10만 마리를 감염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비교해 보자. 왼쪽 사진은 가운데 꽃 외에는 주변 배경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옆
에 있는 다른 꽃도 초점이 맞지 않는다. 오른쪽 사진은 꽃 전체가 선명하다. 배경도 형태는 알아볼 수 있다. 초점이 맞는 범위를 ‘심도’라고 한다. 왼쪽 사진은 심도가 얇다.F 값이 작은 상태에서 찍어 초점이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옹기종기 모여 있다. 그런데 실험을 지도하는 강사를 빼고도 교사가 2명이나 더 있다.
옆
실험실도 마찬가지다. 조교 1명 정도야 있을 수 있지만 교사가 2명이 더 있다니 이상하다. 이들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청주교대 과학영재교육원에는 ‘관찰지도교사’라는 특별한 사람들이 교육에 함께한다.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른벌레에는 없는 애벌레만의 특징이다. 애벌레의 여섯 개의
옆
홑눈은 이마 양
옆
에 반원모양으로 배열돼 있다.가슴은 세 마디로 구성돼 있다. 각 마디는 한 쌍의 가슴다리를 지니고 있으며 애벌레의 가슴 부분에 달린 세 개의 다리는 진짜 다리로 변한다. 걷는 것보다는 잡고 있는 것에 더 많이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빨대의 반대쪽 끝을 입으로 불자 작고 귀여운 비눗방울이 하나둘씩 방울방울 생긴다.
옆
에 서 있던 다른 아이가 비눗방울을 잡으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뛴다. 비눗방울은 대부분 손을 대면 터지지만 한둘은 손에 달라붙는다. 손에 붙은 비눗방울을 바라보는 아이의 얼굴엔 웃음이 가득하다.그런데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4레인을 차지했고, 4레인을 기준으로 해 8레인 경기와 같은 방법으로 순위에 따라 양
옆
으로 선수가 배치됐다. 미니 인터뷰“수영 훈련은 수학과 과학으로”우리나라 국민들이 ‘수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어느날 혜성처럼 등장한 ‘마린 보이’ 박태환 선수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는 수학동아도모두 각을 가지고 있네각은 수학책에서만 나오는 줄 알았더니우리 바로
옆
에도 있네각은 우리의 친구작품평 | 정다니엘 학생의 ‘우주는 각의 세계’는 상상공간이 매우 크고 넓습니다. 우주 안의 모든 것들은 각을 갖고 있다는 표현을 통해 수학이 우리 곁에 있는 친구라는 사실을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런 형태의 안전띠를 3점식이라 부른다. 어깨 위쪽에 1개, 허리 양
옆
에 각 1개씩 안전띠를 고정하는 점이 있다는 얘기다. 3점식 안전띠는 착용하기가 편하고, 착용한 뒤에도 움직이기가 비교적 편하다. 또 가슴과 골반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다.가솔린엔진 자동차가 발명된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