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미
다소
느낌
부분
일부
소수
근소
d라이브러리
"
약간
"(으)로 총 2,522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열해진 승부 무너진 스포츠맨십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지배되는 것이다.예를 들어보자. 야구에서 투수가 타자에게 위험한 공인 빈볼을 던진다.
약간
위험한 빈볼에 주심이 그냥 넘어간다. 투수는 다시 빈볼을 던진다. 아슬아슬하게 타자에게 맞을 뻔한다. 이번엔 주심이 두가지 중 하나의 결정을 내린다. 하나는 주의만 줄 뿐 이렇다 할 제재를 가하지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떠올렸다. 잃어버린 쥐라기공원 같은 즐거운(?) 상상은 1920년 금성의 스펙트럼 조사로
약간
변경됐다. 구름은 물기 하나 없는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이었기 때문에 늪지는 석유나 탄산수의 바다로 바뀌어야 했던 것이다.1959년 레이더 관측장비가 동원되자 혼란스러운 정보가 금성으로부터 왔다. 구름을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다. 다음 직초점 어댑터와 카메라 사이에 T링을 끼워 둘을 연결한다. 종류에 따라
약간
씩 차이가 있지만 카메라의 렌즈를 분리하고 여기에 T링을 끼우는 일은 어렵지 않다.달을 찍을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노출이다. 적정하게 노출되지 않으면 달의 세부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다.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들려있고(노우즈), 뒤쪽도 살짝 들려있다(테일). 그리고 가운데 부분(캠버)은 바닥에서
약간
떠 있는 완만한 곡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보드는 단단하면서도 탄성력이 있어 사람이 그 위에 타고 힘을 주면 탄력있게 휜다. 보드의 내부 구조는 가장 밑바닥에 보통 ‘P-tex’라고 하는 합성수지로 만든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상 사람을 위협할 만큼 큰 대형 육식동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기껏해야 고양이보다
약간
큰 동물일 것이고 그 녀석은 당신에게 있어 축복과도 같은 존재다. 보통 피식자에 대한 포식자의 비율은 3%를 넘지 않는다. 육식동물 한마리 무게의 수십배에 해당하는 초식동물이 섬에 살고 있다는 계산이 ... ...
쫄깃쫄깃한 면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덜 삶은 상태를 말한다. 이탈리아에서는 완전히 익힌 것보다
약간
덜 삶은 것을 별미로 꼽기 때문에 이런 용어가 생겨났다.면의 중심부분에 심이 남아있다는 것은 면의 표면과 중심부분의 수분함량이 차이가 난다는 점을 의미한다. 면을 입안에 넣으면 먼저 수분 함량이 높은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검은 성운인 것이다.그런데 말머리의 왼쪽 끝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른 곳보다
약간
은 흐릿하다. 왜 그럴까. 성운 안에서 별빛이 새나오는 탓이다. 먼지와 가스가 모인 말머리성운 같은 암흑성운은 아기별이 태어나고 자라는 요람 역할을 한다. 이제 갓 태어난 아기별이 강보에 쌓인 채 세상 빛을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포항공대 수학과의 최영주 교수는“수학에만 몰두하면 안된다”고 대답한다. 답변이
약간
의외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최교수가 하고 싶은 말이 계속 이어진다.“ 암호학과 같은 학문에는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면서“이를 위해서는 다방면의 책을 읽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대적반의 위치는 목성 표면에서 위도 -23.3°, 경도 75° 부근에 위치한다. 즉 목성 적도에서
약간
남쪽 띠에 있다. 따라서 대적반을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원하는 시각에 지구에서 봤을 때 목성 중앙부분이 해당하는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위해서는 첨단기술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그라운드의 중앙부위를 가장자리보다
약간
높게 설계해 물이 자연스럽게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했다. 하지만 물이 흐르면 공도 구른다. 불편할 뿐더러 가끔 공이 저절로 굴러가는 우스꽝스런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상암구장을 보자. 윤기가 흐르는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