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택"(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삿개 주상절리도 안정적으로 서 있기 위해 육각형 구조를 선택하지 않았을까요?주상절리를 지나 다음 목적지까지 얼마나 남았을까요? 얼마나 걸었는지 잴 수 있는 도구가 없을 때 대략적으로 우리가 걸어온 거리, 앞으로 남은 거리를 구하고 싶다면 보폭을 이용하면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의 이해되지 않는 행동은 이뿐만이 아니다. 알파고는 2국 종반에도 어처구니없는 선택을 했다. 우측 상단의 흑돌 여섯 개(알파고)와 중앙의 백돌 네 개(이세돌)를 바꿔치기 한 것. 사람들 간의 대결에서는 대악수라고 불리는, 소위 ‘떡수’다. 집으로만 두 집은 손해를 봤다. 그럼에도 2국에서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전자를 공유하는 다수의 친형제 자매들이 덕분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면, 자연 선선택은 고약한 맛을 만드는 유전자를 택했을 것이다. 이 가설이 맞는다면, 애벌레 때 비교적 먼 혈연들까지도 함께 모여 사는 종보다 친동기들끼리만 모여 사는 종에서 고약한 맛이라는 방어체계가 더 뚜렷이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악어의 전성기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였다. 트라이아스기가 끝나자 모든 것이 180˚ 바뀌어버렸다.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대부분의 악어는 절멸해 버렸고, 이들의 빈자리를 공룡이 ... 맞이할 수 있었다. 굵고 짧게 가는 전략은 버렸지만, 대신 가늘고 오래 가는 전략을 선택한 셈이다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는 신경세포의 원리를 묘사하는 비선형미분방정식인 ‘호지킨-헉슬리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1952년에 만들어진 이후 뇌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공로로 개발자인 호지킨과 헉슬리가 1963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17가지 방정식은 멀게는 기원전, 가까이는 1970년대에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학습시킬지, 얼마나 오랫동안 할 것인지 등 인간이 결정해줘야 할 것이 너무나도 많다. 선택의 분기점에서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때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예상하기는 무척 어렵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일일이 확인해 보면서 최적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 세부적으로도 인간의 직관과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방대한 데이터 광산에서 유용한 정보만을 캐내기 위해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가장 간단한 기계학습은 천문학자들이 학습 가능한 자료와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설정하면, 컴퓨터가 스스로 최적의 학습 방법을 찾아내 학습하고 이것으로 특정한 임무를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넘었는데 사망하기 한참 전부터 거동도 못하고 약물로 간신히 생명을 버텨오다 자살을 선택한 것이다. 본인이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 자신의 몸을 기증하는 것이라 생각하면서…. 그 시신이 부패하던 몇 달 동안 나는 최대한 정성을 다해 사진을 찍었다. 그분의 마지막 바람이 헛되지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속도, 모양 등을 측정하는 장치.식물은 자손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이렇게 놀라운 전략을 선택했다. 온 세상을 알록달록 물들이는 꽃잎과, 향긋한 내음, 꿀을 빨기 위해 찾아오는 벌과 나비, 그리고 우리 코끝을 간질이는 꽃가루까지…. 어쩌면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가만히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경우 현재 바둑판의 상황에서 어느 곳에 놓아야 이길지를 예측해 가장 좋은 수를 선택한다.확률론은 모형을 어떻게 만들어야 예측을 잘 할 수 있는지 연구할 때 쓰인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판단을 확률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확률론은 모형을 만들 때 직접적으로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