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턱 사이의 지점에 있으며 초기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모두 갖고 있는 것이다.한편
북
일리노이 대학의 스미스 박사는 대부분의 네안데르탈인 두 개골의 뒷부분을 보면 마치 작은 빵이 들러 붙어 있는 형태라는 것을 강조한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발견되는 초기 현생인류의 두개골도 이런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큰재갈매기 괭이갈매기 바다쇠오리 바다비오리 등을 탐사했다.탐사결과 거제도
북
쪽 해안에서는 갈매기류 이외에 다른 철새를 찾기 힘들었으나 남쪽 해안에는 그런대로 아비를 비롯 쇠뿔논병아리 등 많은 종의 바다철새를 볼 수 있었다. 특히 칠천도 앞바다에서 근래에 보기 힘들었던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아비집단이 2, 3천마리는 됐는데 여러분이 보신것은 고작해야 6백여마리이지 않습니까.
북
쪽 연안에는 워낙 해상교통량도 많아졌으니까 그렇다치고 남쪽연안도 줄어드는 것이 눈에 보입니다. 그런 와중에서도 둔덕면 근처에서 쇠백로를 19개체 발견한 것은 큰 수확입니다. 김영채선생님이 돌산에서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멀리 떨어져있는 사람과의 통신이었다. 사람의 고함소리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
소리나 다른 악기소리가 신호를 전파하는 최초의 도구였다. 음향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시각이 사용된 것은 원시문명이 생겨나면서 시작한다. 산꼭대기에서 피우는 봉화나 연기는 소리보다 멀리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지점에서
북
극성의 천정거리는 대략 90˚-Φ가 된다.( )6.
북
반구 위도 Φ인 지점에서 천구의
북
극고도 h는 -Φ가 된다.( )7. 남반구 위도 Φ인 지점에서 천구의 남극고도 h는 -Φ가 된다.( )8. 남극위의 관측자에 대해 별들은 천정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9. 적도 지방의 관측자에 대해 별들은 언제나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댐에 이류가 갇혀 있게 되었다.그후 댐이 터지면서 이류가 흘러나와 세인트 헬렌산
북
쪽에 그랜드 캐년의 40분의 1 규모의 협곡을 급격히 형성했다. 이곳 사람들은 이 협곡을 '리틀 그랜드 캐년'이라고 부른다. 협곡을 흐르는 하천이 협곡을 만든 것이 아니고, 협곡이 형성됐기 때문에 하천이 흐른다는 ... ...
The Park Phenomenon 공원현상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남쪽사람들이 바빌론 왕국을 건설하거나 아고라에서 철학을 논하고 있을 적에 보다
북
쪽 산림지역에서 원시적 사냥을 했던 조상들의 피를 이어받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먼 옛날의 고향을 찾고 싶은 도시인들 가슴속의 또 다른 인간에게, 공원 특히 센트럴 공원은 눈과 마음을 쉬게 해 주는 경치를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최초의 악기는 '허공에 떠있는 뼈'로 선사시대에는 피리로서 사용되었다. 도자기로 만든
북
은 6천년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다음에 나온 것은 리라라고 불리는 하프의 일종으로 4천5백년 전에 연주됐다고 하는데 후에 이것이 발전하여 하프가 됐다고 한다. 금관악기의 조상은 동물의 뿔로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봄철의 별자리를 이룬다. ( )⑨ 적경에 관계없이 δ=45°인 별들은 δ=40°인 별들보다 천구의
북
극에 가까이 있다. ( )익힘문제 해답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 변화는 곧 또다시 증가했고, 1852년 12월말경 허셀은 베텔기우스가 천구 적도의
북
쪽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되었다고 생각했다.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의 관측결과에 따르면 이별은 1933년과 1942년 대략 0.2등급으로 최대의 밝기를 나타냈다. 이웃한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