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쌤의 꿀팁] 수학 잘하고 싶다면 '왜?' 라고 질문하세요~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수학자에게 왜 수나 도형에 관해 연구하세요?’라고 물으면 99%는 ‘궁금하니까요’, ‘호기심이 생겨서요’라고 답해요.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 대부분은 문제 푸는 것 자체가 재밌고 딱 맞아떨어지는 답이 나왔을 때 신기하다고 말하는데요, 이런 수학의 재미를 많은 학생이 느낄 수 있도록 수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흐읍!시원하게 허공을 가르는 돌려차기. 발끝은 한 점을 향한다. 바로 지름 3cm 남짓한 작은 병뚜껑. 발에 맞은 병뚜껑은 병 입구에서 몇 차례 빙글빙글 돌고는 이윽고 허공을 향해 날아간다.병 속에 있던 물은 사방으로 튀고, 도전 성공을 축하하는 환호성이 터진다. 병이 쓰러지지 않았음은 물론이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우리는 지금까지 로보트 재권V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어 전원을 공급하고 인공지능(AI)을 넣었습니다. 지난 호에서는 냄새를 맡고 소리를 들으면서 주변 상황도 파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어떤 일도 잘 해낼 수 있습니다.그러나 로봇이 인간의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서 ... ...
- [중국유학일기] 중국도 ‘배달의 민족’이었어 ‘와이마이’ 문화 발달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내가 중국에서 한 달 동안 쓰는 생활비는 우리 돈으로 약 40만 원이다. 중국 돈으로는 2300위안 정도다. 현지에서 돈을 쓸 때는 중국은행의 ‘판다 유학생카드’를 사용한다. 중국 유학생을 위한 카드인데, 한국에 있는 중국은행 지점에서 만들 수 있어 편리하다. 한국에서 원화로 입금하면 현지에서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1, 2, 4, 7, 11처럼 수를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수열의 일부를 똑 떼서 살펴보면 수가 점점 커지는 ‘증가수열’ 또는 점점 작아지는 ‘감소수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최근 수열을 부분수열로 쪼개서 볼 때 나타나는 수학적 성질을 밝힌, 재밌는 이름의 수학 정리가 나왔습니 ... ...
- [전국반장회의] 찬반토론, 수행평가 축소해야 한다?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네, 교육 토론 현장에 나와 있는 홍나비요정 리포터입니다! 그런데 토론장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반장들 모두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의견을 나누고 있네요. 안건은 7월 마감된 ‘고교 수행평가를 축소해주세요’라는 청와대 국민청원 건입니다. 안타깝게도 30일 동안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지 못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 미국 캘리포니아 동부에 사는 ‘브리슬콘 소나무’는 가장 오래 사는 생명체로, 4850살 먹은 나무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나무의 나이테로 몇 천 년 전의 기후를 알 수 있어 고고학 연구에 도움이 된다. 위키피디아/Rick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는 백제 시대의 절인 왕흥사가 있어요. ‘있었다 ...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9월 7일 서울 용산구 청파로 동아사이언스 본사. 정우성 씨(고려대 생물학과 4학년)와 문소원 씨(연세대 행정학과 3학년)의 얼굴에는 살짝 긴장감이 흘렀다. 정 씨와 문 씨는 중·고등학교 시절 소위 ‘전교 1등’으로 불리던 수재들이다. 학창시절 정 씨는 ‘이과 1등’, 문 씨는 ‘문과 1등’이었다. ... ...
- SF, 현실이 되다 애드 아스트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9월 19일 개봉한 영화 ‘애드 아스트라(Ad Astra)’의 제목은 라틴어로 ‘별을 향해’라는 뜻이다. 우주비행사 로이 맥브라이드(브래드 피트)가 지구를 위협하는 전류 급증 현상을 막기 위해 진원지인 해왕성으로 향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영화를 연출한 제임스 그레이 감독은 8월 29일 베니스에서 열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일부 요소를 바꾸는 것은 인공지능(AI)이 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색깔을 다른 색으로 염색해줘’와 같은 명령은 AI가 쉽게 수행하죠. 하지만 ‘사람 얼굴을 고양이로 바꿔줘’와 같은 명령은 아직 잘 수행하지 못합니다. 즉, 하나의 개체를 아예 성격이 다른 개체로 바꾸는 건 잘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