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영향을 미친다(위 그림). 이렇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에 단일클론만 떼어 내면 전이능력도 부족하고, 혼자 살아남기도 힘들다.종양내이질성, 왜 생기는 걸까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병리학 진단검사의학과의 피터 노웰 교수는 1976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종양내이질성과 암세포의 진화에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중에 원하는 능력을 가진 것을 찾거나, 효모에게 자연적인 돌연변이를 유도하면서 발효 능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맛있는 한국 빵을 찾기 위한 연구팀의 노력은 비단 효모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 연구팀은 ‘신맛이 나지 않는 사워도우’를 개발하고 있다. 반죽을 천연발효시키는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이버그(bug)가 온다!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 ... ...
- [과학뉴스] 색 분류 능력은 타고나는 것?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색을 세밀하게 구분하는 반면, 관련 어휘가 단출한 나라도 있다. 하지만 색을 분류하는 능력 자체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서식스대 심리학과 안나 프랭클린 교수팀은 4~6개월 된 아기 179명을 대상으로 색상을 얼마나 구분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X염색체를 하나만 갖게 되는 겁니다.염색체 하나를 통째로 비활성화시키는 Xist의 놀라운 능력을 본 과학자들은 이것을 어떻게 의학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했습니다. 그 결과물 중 하나가 2013년에 나온 미국 매사추세츠대 의대 등 공동연구팀의 다운증후군 연구입니다. 다운증후군은 정상적으로 두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는 바이오로깅을 “미래에서 온 쌍안경”이라고 불렀다. “인간의 눈이 지닌 잠재 능력을 훌쩍 뛰어넘는 관찰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본질적인 방식을 바꾸지 않고도 관찰, 기술, 고찰이라는 착실한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진실에 도달하게 만들어 주는 발명품”(26쪽)이라고도 ... ...
- 과학실험과 코딩을 동시에!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일이 중요합니다. 미래 세대가 꼭 갖춰야 할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액션코딩 아이팝콘’을 소개합니다. 아이팝콘을 활용하면 센서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코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손 안에 쏙 들어가는 아이팝콘 기기는 가속도, 회전, 온도,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발생시키는 광합성을 하는 유일한 분류군인 옥시포토박테리아(Oxyphotobacteria)가 이런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이 꽤 늦었다는 점이다. 남세균의 공통조상에서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Sericytochromatia)가 먼저 기원하고 그 이후에야 옥시포토박테리아가 등장했다. 그 시점은 대략 25억 년 전이다. 2. 두 번의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많이 살고 있었다. 박테로이데스의 미생물 대다수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다당류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라크노스피라는 면역계 보호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내미생물 중 하나다.장수촌에서만 발견된 미생물도 있었다. 페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으로, 자가면역질환에 효과가 있고,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하므로 순발력이 좋아야 해요.●유격수 : 땅볼을 잡아 긴 거리를 던져야 해요. 상황 판단 능력이 필요하고, 몸놀림도 빨라야 하죠.●좌익수, 우익수 : 홈에 정확한 공을 보낼 수 있도록 팔과 어깨 힘이 필수예요.●중견수 : 중견수는 외야 중에 수비 범위가 가장 넓어서 정확한 판단력이 있어야 해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