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세먼지를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부위는 호흡기관인 기관지와 폐다. 황 교수는 지난해 기존 학계에 알려져 있던 것과 전혀 다른 사실을 밝혀낸 미국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혈액을 응고시키는 세포인 혈소판이 대부분 폐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doi:10.1038/nature21706 황 교수는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VR)용 웹툰앱 ‘스피어툰’과 전용 제작도구, VR용 작품을 만든 겁니다. ‘comixV’ 같은 기존 앱은 평면 만화를 360˚ 벽면에 두를 뿐이라 입체감이 부족했습니다. 한 눈에 그림을 볼 수 없어 말풍선을 찾아 헤매는 문제도 있었죠. 스피어툰은 전용 제작도구로 두 문제를 해결합니다. 사물과 캐릭터를 ... ...
- 최초의 수학문화관,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든 생각이다. 마치 놀이기구처럼 보이는 체험형 수학 구조물로 가득 찬 공간이었다. 기존 수학체험관이 손으로만 만지는 데 그쳤다면, 수학어드벤처관에서는 총 16가지의 대형 수학 구조물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커다란 삼각형 안으로 3명이 함께 들어가 각 꼭짓점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최소가 ...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업 ‘23앤드미’에서 분석한 대규모 유전체 정보 결과가 활용됐다. 이번 연구에는 기존에 활용해온 EQ테스트뿐만 아니라 타액 샘플을 분석해 나온 유전자 정보를 수학 모델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공감능력과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찾았다. 그 결과 공감능력을 조절하는 유전 요인이 EQ 값을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변화를 0과 1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눈에도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로탁세인 한 개가 기존의 메모리를 구성하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의 역할을 대신한 것입니다. 로탁세인 메모리 칩을 이용하면 1cm2 면적에 1000억 비트를 저장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반도체 칩과 비교해 볼 때 100배 이상 많은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석권한 것이 원동력이었다. 하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뒤 분석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메모리에서 저장과 분석을 동시에 진행해 데이터 분석 효율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이병호 학부장은 “국내 기업이 가치를 알아보지 못해 해외에 이전할 수밖에 없었던 기술”이라며 “학부 ... ...
- [과학뉴스] 중금속 오염수를 깨끗한 식수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Science)’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MOFs는 값이 싸고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에도 안전하다. 기존의 중금속 제거 방식은 침전 현상이나 흡착제, 생체막 등을 이용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가격이 비싸고 에너지 효율도 낮은데다 유독성 폐기물까지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스위스 론 강과 ...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3년 7개월이 지나 연구자들이 후속 연구결과를 올해 2월 15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 기존에 게놈 서열이 알려진 감귤류 28가지에 새로 30가지의 게놈을 해독해 감귤류의 가계도를 거의 완성했다.doi:10.1038/nature25447 연구팀은 감귤류의 기원을 중국 남서부의 윈난성과 미얀마, 인도 북동부 히말라야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DNA 메모리는 4비트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의 밀도가 대폭 높아진다. 기존 하드디스크의 정보 기억 밀도는 1mm2 당 1010바이트인 반면, DNA의 저장 밀도는 1mm2 당 1018바이트 정도로, 1억 배 이상 높다. 더구나 DNA는 현재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외부 자극에 강하기 때문에 장기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연구했을까요? 구수략에 담긴 마방진을 보면 하루 이틀 머리를 싸맨 것이 아닙니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모양의 마방진을 만들어내고, 직교라틴방진의 원리를 스스로 터득해 내려면 적어도 몇 달은 이것만 꼬박 생각했겠죠? 군사 진법을 고안하기 위해서다?역사를 살펴보면 마방진은 대부분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