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야 했어요. 유니세프의 ‘2014 세계 아동현황보고서’를 보면 전세계 어린이의 15%가 공부 대신 일을 한다고 해요.우리가 필기구를 모아 전달하면, 이런 친구들은 색다른 경험을 하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거예요.서랍 속 잠자는 펜을 보내 주세요!친구들의 책상 속에 잠자고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하는 수밖에 없었다. 클리퍼드는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과학과 수학, 스페인어 등을 공부하며, 약국에서 일해 학비로 쓸 돈도 모은다. 그때 운명처럼 광고 하나가 시야에 들어온다. 한 비누 회사가 여는 이벤트로, 멋진 광고 표어를 써서 응모하면 1등에게 달 여행 상품권을 준다는 것이다.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인가라는 질문을 왜 여태껏 하지 못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게 계속 공부하다 보니 제가 모르던 세계가 보였고, 여기에는 내가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죠. 그때부터 저만의 연구를 시작했어요. 저만의 것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거든요.”연구하다 보니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다면, 학생마다 갖고 있는 취약점을 찾을 수 있다. 취약점을 찾으면 그에 맞는 공부법도 제공할 수 있다.매스프레소의 목표는 많은 데이터에서 유용한 것만 골라 상관관계를 찾는 ‘데이터마이닝’이다. 그런데 개개인의 질문 유형을 분석하려면 데이터가 매우 많이 필요하다. 그래서 콴다를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필요하다”며 “새로운 연구기관을 맡게 되면, 그 기관이 무엇을 연구하는지부터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고 말했다. 그동안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극지연구소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기술을 개발했고, 현재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도 플라즈마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술을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든 일이 성공적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그에게도 물리 공부는 어려웠다. 그는 특별히 공부를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독자들에게 전했다.“어려움을 견디고 계속 책을 붙들고 있는 게 쉬운 일은 아니죠. 장애물을 만나면,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는 게 좋아요. 저도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결돼 있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와 젠가를 할 수 있답니다.”가상현실로 공부하고 여행하고~기자단 친구들은 처음엔 모든 나무토막을 한꺼번에 쓰러뜨리기도 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나무토막을 하나하나 빼내면서 실제처럼 집중해서 게임을 했답니다.“가상현실 기술은 사람의 몸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파고에게 입력한 기보 양은 무려 16만개! 프로기사가 1년에 기보를 1000개씩 공부한다고 해도 평생 다 못 볼 양이지요. 하지만 알파고는 단 5주 만에 기보를 모두 분석해 사람들이 바둑을 어떻게 두는지 알아갔답니다.이처럼 많은 양의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알파고의 성능이 ...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알려 준 대로 열심히 공부하고 이기는 수를 뒀을 뿐인데…. 응? 기계가 어떻게 공부해서 바둑을 두냐고? 사람이 대신 둔 거 아니냐고? 안 믿는다니 어쩔 수 없지. 내가 ‘컴퓨터 바둑왕’이 된 비결을 살짝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라고!고양이의 특징, 인공신경망으로 배워요어린 아이에게 고양이를 보여 주면서 ‘고양이’라고 알려 주면, 그 다음부터 고양이를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