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제
상태
상테
d라이브러리
"
경제상태
"(으)로 총 1,25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북쪽의 대만과 남쪽의 보르네오 사이에 원시자연이 보존된 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필리핀군도는 아름다운 산호초가 둘러싸고 있다.7천개가 넘는 섬필리핀의 국민학교 교과서에는 이나라의 섬의 수가 모두 7천1백3개라고 쓰여있다. 이 많은 섬 중에서 이름이 붙어있는 섬은 2천7백73개 뿐이며 사람이 ... ...
제주도의 열대과일, 에떻게 기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바나나에서 커피까지,제주도는 열대과일 재배의 실험실이 돼가고 있다.열대식물의 재배조건과 제주도의 기후가령 온도와 습도 햇볕 등을 인공적으로 적절하게 조성해준다면 남극이나 북극의 얼어붙은 땅에서도 갖가지 곡식과 꽃 나무들을 훌륭하게 키워낼 수 있을 것이다. 물을 끌어대 사막을 옥 ... ...
서울의 대기오염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우리 동네의 공기는 숨쉴만한가 새로 고안된 PSI 지표를 이용해 서울의 대기오염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죽음과 대기오염의 관계 1970년 '라센'(Lasen)이란 학자는 대기오염도와 '초과 사망자'(excess death)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초과 사망자란 평소의 자연사에 의 ... ...
우리나라 해양발전의 내일을 연다 한국해양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안산시에 새 연구소 완공단계●2천년에는 3천억원 투자●해양한국의 기반 구축지구 표면의 70%를 덮고있는 바다. 바다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우주이다. 바다속에는 1천7백억 배럴에 이르는 석유를 비롯한 40여종의 광물자원이 있다. 또 연간 약8천만t이나되는 어획량으로 인류에 대한 식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중국대륙·일본과 관계가 깊은 동물상. 함경도는 북방형, 그 외의 지역은 남방형의 동물이 살고 있다 구북구(旧北區)에 속한 동물상이 특징우리나라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을까. 또 중국이나 일본 등 이웃 지역과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전세계적인 동물분포와는 무슨 관련성이 있을까. 이같은 ... ...
챌린저의 비극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연료탱크 폭발로 사고는 생겼다. 그러나 이 사고를 유발한 근본적인 이유는 '보다 적은 돈으로' 우주개발을 하자는 구두쇠작전에 있었다.한치 앞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이 세상사라고 흔이 말하지만 지난 1월 29일에 일어난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참사가 바로 그런 경우였다. 이날 존 F. 케네디 우주센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영국과 유럽대륙을 잇는 '도버'해협 해저터널. 연 4천5백만명의 사람과 4천만t의 화물을 운반할 터널이 바다밑 40m에 건설된다. (본고는 영국대사관에서 제공한 자료와 사진을 참고해 정리한 것이다.)유럽인들의 숙원인 '도버'해협 해저터널이 건설된다. 영국과 유럽대륙을 잇는 이 해저터널은 지난 1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거대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프랭크 데이빗슨' 교수와 일본 '과학 아사히'지와의 대담으로 알아본 깜짝놀랄 내일의 기술역사를 돌이켜보면, 왕국의 분묘나 대운하 건설 같은 거대한 프로젝트는 인류문명 진보의 원동력이었음을 느낄 수 있다. 현대의 피라미드 건설, 예컨대 지구규모의 초대형 계 ... ...
남극관측탐험대 개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우리나라 남극관측탐험대가 지난해 12월 16일 개선했다. 남극대륙 최고봉을 정복하고 지질과 기상등도 관측하고 돌아왔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이번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항구적인 남극기지를 설치하고 남극조약에 가입하는 문제다. 기지없이 체계적탐사 불가능 남극관측사업은 남극에 영구기지 ... ...
일본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에로의 전환을 겪고 이미 기술 수준이 세계 제1급으로 올라선 일본은 오늘날 산업체의 주도 아래 순수과학의 발전에 주력하고 있다.산업체가 순수과학의 연구를 주도 일본은 낮은 기술 수준을 극복하기 위해 모방꾼이라는 비방을 들으면서도 기술을 적극 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