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일직선으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실제의 물분자는 두 개의 수소가 104.5°의
각도
를 이루며 결합돼서 썩 대칭적인 모양이 아니다. 그런데 물분자는 이렇게 구부러진 모양 때문에 비슷한 다른 분자보다 녹는점과 끓는점이 훨씬 더 높고, 밀도와 열용량이 크며, 고체의 밀도가 액체보다 더 ...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대칭적인 도형의 명백한 예로 원이 있다. 원의 대칭군은 중심에 관한 임의의
각도
의 회전대칭 변환과 임의의 지름에 관한 반사대칭 변환 및 이런 대칭 변환들의 모든 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원의 대칭군은 무한 집합인데, 이것이 바로 원의 완전한 대칭성을 설명해준다. 이와 반대로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수천 배나 무거운 원자핵들의 3차원 공간 위치를 정해준다. 원자핵들 사이의 거리와
각도
모두를 말이다. 하지만 전자는 고된 역할을 맡은 대신 원자의 거의 전 공간을 자신의 영역으로 배정 받았다. 역할 분담에 적합한 공간 안배가 이뤄진 것이다. 인간 세계에도 서로 배척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다르지 않으면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곳 사이의 거리나 측정하는 대상이 보이는
각도
를 알면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달까지의 거리도 지구상의 두 점에서 보이는 위치를 측정해 구할 수 있다. 우리들이 눈앞에 있는 것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도 뇌가 오른쪽 눈과 왼쪽 눈에서 보이는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나뉜다. 이때 물방울로 들어간 햇빛과 물방울에서 나오는 빨간색 빛 사이의
각도
는 42도, 보라색 빛은 40도로 빨간색이 보라색 빛보다 2도 정도 아래에 있다.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빨간색이 위로 나타나는 이유다(그림5).쌍무지개를 보는 것은 보통의 무지개를 보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그러나 사실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잡기유리잔 위에서 벌어지는 동전과 포크의 묘기를 지켜보자.■왜 그럴까?포크 사이의
각도
를 적당히 조절하면 포크를 끼운 동전이 유리잔의 가장자리에 얹혀있게 된다. 포크는 동전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2개의 포크를 동전쪽으로 향하게 만들면 전체의 무게중심을 컵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눌러준다필름 : ASA4000 이상의 고감도 필름카메라 조정대 : 사진 촬영 영역을 다양한
각도
로 잡을 수 있게 해 준다.■방법1. 별지도에서 찍고자 하는 소행성의 위치를 확인한다.2. 별자리를 보면서 소행성이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카메라의 구도를 잡는다.3. 조리개는 가능한 최대로 연다4. 망원경으로 ... ...
2. 태양빛에서 형광색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3). 이것이 간섭색인데 나비의 현란한 색채들은 이러한 간섭색이 많다. 간섭색은 관찰
각도
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비온 날 고여있는 물위에 기름이 퍼져있는 경우 유막의 두께에 따른 간섭색이 나타나는 것은 손쉽게 볼 수 있다.이밖에 유난히 채도가 높은 형광색이 있다. 형광색은 에너지가 높은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된 상황이 발생해 그는 다른 비행기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땅을 향해 돌진했다. 90도
각도
로 땅에 처박힌 비행기가 이를 증명한다는 것. 이때의 사고로 소유즈 2호와 3호의 도킹계획은 취소되고, 대신 소유즈 4호와 5호가 그 몫을 해냈다는 게 러시아의 주장이다.머큐리와 보스토크미국이 최초의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가 그린 ‘리비아의 무녀를 위한 스케치’(13)를 보자. 미켈란젤로는 어느 위치, 어느
각도
에서나 자유자재로 인체를 묘사할 수 있었다. 다 빈치는 한술 더 떠서 뼈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근육이 어떻게 붙어 있는지, 동맥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직접 자기 손으로 인체를 해부해 인체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