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5,158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09
수는 없잖니. 같은 길을 걸어가는 경쟁자는 어느 분야든지 있게 마련이야. 그 안에서 내
위치
를 찾아가면 되지. 섣불리 포기하거나 비전이 없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어. 네가 좋아서 하다 보면 직업의 안정성은 자연스레 따라올테니 걱정하지 않아도 돼. 단, 좋아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해야겠지.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09
양성의 산실로서 나름의 학풍을 각각 갖고 있다. 하지만 GIST는 그 가운데서도 독특한
위치
에 있다. 지난 16년간 대학원을 운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학사과정에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충분히 고민하고 연구했기 때문이다. 이관행 대학장은 GIST만의 강점으로 한 기수에 100명에 불과한 학생 수를 ... ...
바닷속 소음에 오징어, 문어도 아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9
그러자 오징어와 문어들의 평형포가 모두 망가졌답니다. 평형포는 청각 기관 속에서
위치
를 감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요.안타깝긴 하지만 그렇다고 음파탐지기를 안 쓸 수도 없고….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죠?다행히도 사람들이 음파탐지기 소음에 바닷속 생물들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
수학동아
l
201109
음이 된다. 분수 셈을 잘해야 단소를 잘 만들 수 있는 것이다.‘삼분손익법’ 으로 지공
위치
계산하기 곡식으로 기본음 정하기 음을 정하려면 기준이 되는 기본음이 필요하다. 세종대왕 시기에 음악가 박연은 황해도 해주에서 생산되는 곡식인 기장 90알을 일렬로 나열한 길이를 ‘황종' 으로 ... ...
수학 예술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09
정삼각형과 넓이는 같지만 모양이 다른 새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날개와 눈을 다른
위치
에 그리면 그림④와 그림⑤처럼 서로 다른 느낌의 새를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기본 도형에 곡선을 이용해 조금만 변형해도 독특한 모양의 타일을 만들 수 있다. 수학적인 사고와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수학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09
종이를 묶을 수 있다. 다만 바인더에 맞게 구멍이 뚫린 종이를 쓰지 않으면 매번 구멍의
위치
에 맞춰 종이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그럼 공책 한 권에는 몇 장의 종이가 들어 있을까? 종이의 매수는 공책의 크기를 정하는 원리와 비슷하다. 전지를 3번 접으면 8절 크기의 용지 8(=2³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게놈연구 국제컨소시엄’을 만들었다. 이렇게 많은 과학자들이 참여해 각 유전자의
위치
를 정하면 더 빠른 시간 안에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기술이 발전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한 생물의 게놈을 모두 분석하는 일은 많은 과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밤낮으로 연구해도 몇 년씩 걸리는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09
1급과 2급 위험지로 판정 받은 곳은 위험하다. 다음으로 그 지역에서 계곡을 따라 아래에
위치
한 지역이다. 경사지가 다른 곳보다 급하기 때문에 토석류가 흐를 가능성이 높다. 경사면보다 한참 아래라 하더라도 앞에 토석류를 막을 지형이나 구조물이 없다면 위험이 증가한다. 춘천 사고가 대표적인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세계 최고의 가속기연구소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지난 8월 8일, 경북 포항 포스텍에
위치
한 포항가속기연구소를 찾았다. 마침 3년에 걸친 성능향상작업의 종합시운전에 막 성공한 참이었다.[포항방사광가속기의 선형가속기 구간. 붉은 관 위에 있는 작은 구리관이 선형가속기다. 전자가 170m를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9
일본야생동물보호기금과 함께 만든 ‘나지마 새 휴식섬’이 그 예다. 후쿠오카 북쪽에
위치
한 나지마 갯벌이 개발되면서 인근 논이 사라졌다. 그러자 밀물 때 새가 쉴 곳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조사 과정에서 이 사실을 알게 된 연구회는 갯벌 앞에 지름 5m 정도의 작은 돌무더기 인공섬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