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2,83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층 빌딩에 농사지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5
높이 쌓을수록 더 많은 작물을 키울 수 있고, 태풍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에도 작물을
안전
하게 키울 수 있는 데다 병충해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요. 또한 초고층 빌딩에서 자라는 작물들이 내놓는 수증기를 모으면 사람이 먹을 물도 얻을 수 있답니다.환경과 식량 문제에 도움이 될 첨단 ... ...
오싹 오싹~ 귀신의 집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4
놓아 주겠다고 한다. 그런데 조금씩 다르게 생긴 네 종류의 까치가 서로 자기가 가장
안전
한 다리를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까치들이 몸에 몸을 빈틈없이 맞대 다리를 만든다고 할 때 가장 완벽한 다리를 만들 수 있는 까치는 몇 번일까?이 때 까치의 몸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한다.겨우 집 밖으로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열매를 먹어서도 안돼요. 우리가 흔히 먹는 식품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먹어서
안전
성이 검증되었지만, 야생 과일이나 버섯 등을 함부로 먹다가는 큰 탈이 날 수도 있어요.”닥터고글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백설공주. 갑자기 왕자를 돌아보며 묻는다.“차라리 닥터고글이 제 전속 요리사가 ... ...
파닥파닥~,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들어갈 때는 가슴지느머리를 몸에 바짝 붙인다. 공기의 저항을 작게 해 물 속으로 빠르고
안전
하게 들어가기 위해서다.사건 해결 - 날치가 나는 이유“흠흠~, 괜히 날치 때문에오…, 오해를 했잖아요. 도대체 날치는 왜 나는 거래요?”이제야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다나카 군. 하지만 강태공 군에게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없다. 또 지난 5월 31일에는 제주도에서 규모 4.2의 지진이 일어나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다행히 우리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수준을 벗어나 자연재해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다. 자연의 힘에 비해 아직 능력이 ... ...
수리공학
과학동아
l
200812
그리고 오일러에 의해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먼 옛날부터 인류는 물을 더
안전
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수리공학 이론을 일상생활에 적용시켜왔다. 고대 4대 문명이 모두 강 유역에서 탄생한 배경은 비옥한 토지에서 농경생활을 뒷받침하는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원이 필요했기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12
새로운 단백질 설계한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 뒤 모델링 방법으로
안전
하고 빠르게 약물을 만드는 일이 가능해졌다.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김동섭 교수가 이끄는 단백질 생명정보학 연구실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고 약물의 독성이나 부작용을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12
증가해 고유진동수로 힘을 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리가 무너진다. 그러므로 다리를
안전
하게 건너기 위해서는 엇박자 행진으로 다양한 진동수를 만들어 다리를 건너야 한다. 2) 와이트리시티는 두 코일의 자기적 공명현상을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기술이다. 이를 구성하는 두 코일의 자기적 ... ...
피닉스, 화성에 발 딛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장치로 무사히 화성에 착륙한 건 1976년 바이킹호이후 처음이랍니다. 피닉스는 어떻게
안전
하게 착륙했을까요?피닉스착륙과정비행피닉스는 소형 제어로켓이 달린 보호각 안에 실려 우주공간을 날아갔다. 이 때 필요한 에너지는 보호각 뒤에 있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해 얻었다.진입 초기화성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
설치하고 있는 생태다리는 모두 19개. 고속도로를 다닐 때 한번 찾아보자. 2 땅 밑으로
안전
하게! - 수로와 파이프도로 아래에 설치돼 있던 수로는 조금만 고치면 작은 야생동물들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삵이나 너구리, 두꺼비나 산개구리는 이런 지하 수로와 파이프를 많이 이용한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