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12
고객이 스스로 칩을 만들 수 있도록 상품화한 회사도 있다.여기서는 어피메트릭사의 연구
성과
사례를 살펴보자.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HIV 바이러스는 스스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만드는데, 그 양상이 동일하지 않아 현재 60가지 이상의 돌연변이체가 발견됐다. 따라서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동일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12
맞는’ 레이저광을 손쉽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장치다.차세대 반도체레이저 개발에
성과
를 올리고 있는 곳은 세계적으로 얼마 안된다. 이교수는 이미 국제적인 전문저널에 발표할만한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세상에서 가장 미세한 레이저를 만들어내는게 우리의 목표"라며 힘주어 말하는 이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12
아직 이렇게 모호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생물학의 중요한 기본 개념인 중복
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등생물에는 한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가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중복성). 또 한가지 유전자가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다양성). 만일 한가지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12
데이터를 사용하는 수밖에 없다. 어차피 우리가 지금 나서도 그들보다 앞서 제대로 된
성과
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미생물에 오히려 승산 있다" 지적그렇다면 이렇게 소극적으로만 대응하면 한국의 경쟁력은 낙후되지 않을까. 여기서 게놈연구의 대상을 인간에서 미생물로 옮기면 충분히 승산이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12
노란색 1등성이고, 형 카스토르는 흰색의 2등성이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폴룩스는 2.0등
성과
2.9등성의 밝은 두 별이 나란히 있는 2중성임을 알 수 있다. 은하수 속에 담긴 카스토르의 발치에는 쌍안경으로 보기에 좋은 큰 산개성단 M35가 있다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12
수 있다.게놈 정보를 알아냈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무슨 뜻일까. 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
가 전세계 과학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을까.전체의 2%만 기능 알려져게놈(genome)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 두 단어를 합성해 만든 말로서, 생물에 담긴 유전정보 전체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12
천문학과 이명균 교수는 “천문학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연구
성과
를 내놓은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는 “우리나라 천문학 연구에서 커다란 한걸음을 내딛은 일”이라고 환영했다. 세계의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12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만들기는 대단히 어렵다. 수많은 인력과 비용이 투자되고도
성과
없이 끝나는 일이 많다. 또 원하는 유전자를 작물에 넣었다 할지라도 이것이 식물의 체내에서 활성화돼 병충해를 막는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론적으로는 될 듯하지만 실제 식물체내에서 활성화되지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11
대사분비계 이상(당뇨병 등), 그리고 류머티스가 있다. 이들은 모두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
를 이용해 개발될 신약에 의해 정복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는 암의 사례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자.하루가 다르게 현대 의학이 발달하고 있지만 암은 아직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난치병이며 현재 가장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11
외에도 이산화규소(SiO2)와 백금으로 나노튜브를 만드는데 이미 성공한 상태다. 연구팀의
성과
에 힘입어 머지않아 국산 나노기술이 현실에서 활발하게 응용되는 날이 다가오기를 꿈꿔본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