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책임"(으)로 총 1,4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2018.04.28
- 피해를 막는 환경친화적인 방제 기술 개발이 급선무다. 박호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990년대부터 남북은 곤충병원미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적 미생물 살충제 개발 등의 연구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해왔다”며 “남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협력 한다면 한반도를 넘어 중국, ...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2018.04.27
- 있다. 남한은 ‘폐쇄적 상황’을 이유로 백두산 연구에 한 발 물러서 있는 상황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과학기지’를 세우고, 천지 일대를 자유과학지대로 설정해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장비를 공유하고,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며 “참여 연구자의 신변 안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자신이 못나서가 아니라 그 일이 특별히 어려워서, 상황이 안 좋아서 그랬다는 등 최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에게 어떤 부족함과 문제가 있었는지, 어떤 것을 수정하고 해결해야 하는지보다 자신의 과오를 덮고 이미지를 방어하는 데 더 많은 힘을 쏟았다. 과하게 부풀려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점이다.” 푸드마인즈(FoodMinds)라는 식품과 영양 컨설팅 회사의 최고과학책임자(CSO)인 미치 캔터(Mitch Kanter) 박사는 학술지 ‘Nutrition Today’ 1/2월호에 실린 논문을 이렇게 시작한다. 그런데 최근 고지방 식단이나 고단백 식단의 유행으로 체육계의 영양지침이 흔들리면서 감자연구교육연합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아니냐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특정 사건에서 특정 행위로 인한 잘잘못을 가리거나 책임을 묻는 상황에서도 해당 사건과 전혀 상관 없는 행실, 평소 됨됨이가 갑자기 수면 위로 떠오르고, 정작 중요한 사실들을 가려버리는 일이 생긴다. 안타까운 사실은 특히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의 ‘인격’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이건 좀 다르죠. 이 경우는 여성분도 잘못이…” 흔히 들을 수 있는 이야기다. 성폭력 책임을 피해자에게 묻는 것은 ‘후견지명(hindsight effect)’의 양상을 띠기도 한다. 예컨대 빨간 옷을 입었지만 아무런 일이 없었다면 아무도 그 빨간 옷에 주목하지 않지만, 이 여성이 만약 성폭력을 당했다면 ...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결혼 생활은 11년 지속됐다. 젊은 학생들과도 소탈하게 어울리는 걸 좋아했다. 송 책임연구원은 “호킹 박사가 학회 마지막 날 저녁을 젊은 학자들과 보내고 싶다고 해 4명이 조촐히 저녁식사를 했는데, 밥을 얻어먹은 게 미안했는지 아이스크림을 사고 맥주까지 샀다”고 전했다. 이 자리는 소문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했다. 호킹 박사는 새로운 인공지능 기술 개발보다 인공지능 개발에 앞선 윤리와 도덕적 책임을 강조하며 우선시했다. “다른 태양계를 탐사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다. 지구를 떠나는 것이 인류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2016년 6월 스타무스 페스티벌에서 연설한 내용의 일부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사고방식이다. ‘남성은 짐승’ 류의 이야기도 위험한 짐승을 도발한 여성이 잘못이라는 책임 전가에 일조한다. 남성이 성욕을 해소하지 못하면 몸에 무리가 간다거나 분노가 쌓여 누군가에게 해가 될 수 있다고, 따라서 성욕을 어떻게든 푸는게 당연하다는 결론에 이르기도 한다. 더러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헤그스테드는 1977년 미 상원 위원회의 ‘미국을 위한 식단 목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책임편집했는데 설탕의 위험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즉 설탕이 충치와 관련이 있고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설탕 섭취를 현재 수준에서 40% 줄이라고 권고했다. 저자들은 “제당업계가 헤그스테드에게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