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뉴스
"
원자
"(으)로 총 2,404건 검색되었습니다.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하지만 전압을 가한 상황의 반도체 소자에서 측정하거나 계산을 하기 어려워
원자
수준에서는 이론적인 개념으로만 남아있는 상태였다. 이론적으로도 전압이 가해진 비평형상태를 설명하는 ‘비평형 그린함수(NEGF)’ 방법이 전압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지 못하는 한계가 ... ...
'빛 공장' 방사광가속기 신약·반도체 개발의 '씨앗'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말 목표로 구축중인 중이온가속기와 다르다. 중이온가속기는 자연게에서는 가장 무거운
원자
핵을 가진 우라늄 입자를 무거운 이온 상태로 가속시켜 다른 표적에 충돌시킨다. 이때 2차로 생성되는 입자를 이용해 주기율표 상에 존재하는 않는 원소를 찾아낸다. 양성자를 큰 에너지로 가속시켜 표적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저온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 중이다. 이곳에서는 지구 중력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원자
들이 보다 이상적인 형태로 응집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처음 만나는 나노입자의 다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05
(b)는 따로 추적한
원자
위치 정보를 지도화한 것이다. (c)는 연구팀이 계산을 통해 얻은
원자
특성 지수를 표시한 입체 지도다. (d)는 하나의 입자를 대상으로 특성 입체지도를 여러 평면으로 펼쳐 따로 표시했다. 사이언스 제공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실제 용액 속에 포함된 백금 나노입자의 결정 ... ...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연구할 길이 열렸다. 김병효 연구위원은 “추측만 해오던 나노입자의 정밀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했다”며 “다양한 나노입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으로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고, 합성하는 것이 미래 소재 개발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9
분석했다. ACE2의 최대 길이는 2.9 Å(옹스트롬·0.1nm)으로 분석됐다. 옹스트롬은
원자
의 배열을 잴 때 사용하는 길이의 단위로 1 옹스트롬은 0.1nm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와 같다. 장 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의 구조를 밝혔다”며 “코로나19 약물이나 백신 개발을 위한 ... ...
"코로나19 극복할 새로운 '맨해튼 프로젝트' 필요"
연합뉴스
l
2020.03.26
제기됐다. 맨해튼 프로젝트는 미국, 유럽 등의 과학기술자들이 참여해 인류 최초의
원자
폭탄을 만들어 낸 연구였다. 세스 버클리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대표는 26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런 내용의 논평을 발표했다. GAVI는 최빈국 어린이들에게 백신 접종을 지원하는 보건단체로, 빌 ... ...
신청도 안했는데 차세대 소형원전 예산 삭감됐다?…정부·
원자
력硏 "사실무근"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적은 없다. 차세대 원전 중 하나인 4세대 원전 ‘소듐냉각고속로(SFR)’과 스마트
원자
로를 포함하는 소형원전(SMR·소형모듈형원전)을 혼동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재처리 기술인 파이로프로세싱과 SFR 기술을 2020년까지 연구개발(R&D) 위주로 사업을 진행한 뒤 재검토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나온다. ‘흑체복사’라고 부르는 이 현상은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
의 열적 교란으로 빛이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태양은 표면 온도가 6000도인 흑체로, 복사 스펙트럼을 보면 수백㎚(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파장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우리 눈은 400~700㎚인 ... ...
[프리미엄리포트]산업의 감초 더 싸게 더 많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03.21
최대 8배 이상 과산화수소를 많이 생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코발트와 질소
원자
로 만들 수 있는 구조 중에 이번에 개발한 구조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컴퓨터 계산으로도 확인했다. 이는 계산화학 분야 전문가인 유종석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