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운전 5년간 연평균 50일에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연구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하나로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중인 한 연구자는 "
생물
학 시료의 경우 원자로가 멈추면 폐기하거나 다시 제작해야 한다"며 "규정 변경 전에는 1~2년 걸리던 재료 조사 시험이 5년 넘게 지연되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하나로를 운영 중인 원자력연의 관계자는 ... ...
[과기원은 지금]UNIST, 왜곡된 영상 선명하게 복원하는 방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일그러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복원한 모습. UNIST 제공 ■ 박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 있는 정보를 이용해 선명하게 영 ... 출범해 1988년 한국
생물
공학회로 명칭을 변경한
생물
공학회는 우리나라 최대
생물
공학 관련 학회다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4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3일 게재됐다. 많은
생물
들은 성장하면서 외부의 자극을 감지해 스스로 성장 방향을 바꾸는 특성을 보인다. 식물들은 빛의 방향을 인지해 빛을 향해 성장하고 버섯을 만드는 곰팡이는 영양분이 많은 곳을 탐지해 양분이 풍부한 ... ...
“간헐적 단식, 신체 유전자 발현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활성화되는 반면 소장 하단의 유전자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사람의 24시간
생물
학적 시계를 방해하는 교대 근무가 소화기 질환이나 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는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시간 제한식사가 신체 여러 기관의 일주기 리듬을 정렬한다고 ... ...
인간의 영향은 어디서부터였을까…'인류세' 세부기준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따라 인류세에 대한 세부 내용이 정해질 전망이다. 얀 잘라시위츠 영국 레스터대 고
생물
학과 명예교수는 "인류가 현재 지구의 지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이번 투표는) 이런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지점이 어딘지를 찾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 ...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
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지방과 기름에 대한 식욕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실험
생물
학회지’에 지난달 9일 발표했다. CRTC1은 포만감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멜라노코르틴-4 수용체(MC4R)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이 유전자가 실제 식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후코이단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 다른
생물
이 분해하기 어렵다”며 “모든
생물
이 좋아하지는 않는 듯 하다”고 분석했다. 자연스레 후코이단에 포함된 탄소는 대기로 환원되지 않는다. 짧게는 수백년, 길게는 수년천에 걸쳐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런 ... ...
유용미
생물
·왕겨로 축산 분뇨 악취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아니라 모든 악취로 인한 국민들의 불편이 해소되기를 기대한다”며, “유용미
생물
은 악취 저감, 작물 생육 촉진, 토양·수질 개선 등 무한한 활용성을 가지고 있어 미래를 선도하는 전략 산업 분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장 훤히 보이는 유리개구리의 은신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떤 기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쇤케 욘센 듀크대
생물
학과 교수는 "유리개구리가 몸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적혈구를 간에 숨겨두고 활동할 때는 다시 혈관으로 보내는 과정에서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이 메커니즘을 연구하면 혈전증, 폐색전증 ... ...
공룡이 포유류 먹었다는 최초 증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4
육식공룡 미크로랍토르 화석에서 포유류의 발이 발견됐다고 국제학술지 ‘척추동물 고
생물
학 저널’에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미크로랍토르 뱃속에서 주머니쥐 혹은 설치류로 보이는 포유류의 발이 발견됐다”며 “공룡이 포유류를 먹었다는 최초의 구체적 증거”라고 밝혔다. 미크로랍토르는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