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용"(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튜브 커버송, 과연 불법인가?기사 l20210618
- 만든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권리인데요. 다시말해서, 저작자가 만든 저작물은 저작권자 마음대로 이용 가능하고, 저작권자가 타인의 이용 허가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은 저작물이 창작되었을 때부터 자동으로 생기는 권리이고, 저작자가 죽고 50년이 지난 후에야 저작권이 만료됩니다. 만약, 저작자의 허락없이 저작물을 사용한다면, 당 ...
- 야 너두 일기 잘쓰고 싶쥐??기사 l20210617
- ,3쓰기] 익숙해졌을 때의 방법-[손가락 놓고 그 뒤에로 일기 쓰기] 자~어땠나요??Before 과 After의 변화를 느껴보세요~~여러분도 이 방법을 이용해 일기를 써보세요~물어볼 게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이상으로 박연호 기자였습니다~감사하고 일기 잘 쓰시면 좋겠습니다^-^ ... ...
- 2월의 북소리: 전쟁은 어떻게 과학을 이용했는가?(늦어서 죄송합니다.)기사 l20210617
- 강력한 방공망을 무력화하고, 그 틈을 타 핵 시설을 파괴한 것이 전자전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렇게 전쟁은 어떻게 과학을 이용했는가? 책을 리뷰해드렸는데요. 북소리 기사가 너무 늦은 점. 다시 한번 사과드리고요., 앞으론 미루지 않고, 더 완벽한 기사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사막에 사는 우리 낙타기사 l20210617
- 다른 낙타에게 몸을 비비는 내 모습을 봤지? 그 이유는 사막의 공기보다 다른 낙타의 몸이 더 시원하기 때문이야. 4. 나는 어떻게 이용될까? 나는 사막에서는 주로 운송 수단, 또는 옷 등으로 사용해. 농경지에서는 밭갈이나 물레방아 돌리기 같은 일을 맡아. 내 털로는 옷감 같은 걸 만들고, 가죽으로는 신발 또는 가방 같은 것들을 만들어 ... ...
- 이벤이용(마감 시 분량 책임X)포스팅 l20210616
- 망 소셜 타임머신 특출 하실분 구합니...(퍽 없으시면 제가 그냥 만드려고요 표지는 프롤 올렸는데 내용은 https://kids.dongascience.com/presscorps/postview/299122 요기서 보시길 양식은 성격 성별 더 추가하는것 친구 이름 인데 예) 성격:착함 성별:여 더 추가하는것:없음 친구:있음 이름 ...
- [6월 기억한데이 미션!] "의병의날"기사 l20210615
- 유명해요. 그런데 임진왜란에는 많은 의병들이 함께 싸웠어요. 의병들은 왜군이 자신들의 마을에 쳐들어왔을때 자신들의 고장지리를 이용해서 왜군들을 무찔렀어요. 대표 의병장으로는 곽재우가 있어요. 곽재우는 홍의장군이라고 불리는 유명한 의병장이에요. (출처:네이버) 2. 처인성 전투 처인성 전투는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수도 있어요. 처인성 전투란 고려시 ...
- 친환경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자 - 3화 풍력발전 (짧은 시간 안에 풍력발전에 관해서는 척척박사가 될 수 있어요!)기사 l20210613
- 말 그대로 '바람'의 힘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발전으로, 지방 고속도로를 타면 한번쯤은 볼 수 있어요. 이처럼 흔하게 볼 수 있는 풍력발전의 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풍력발전기는 흔히 '세 날개 달린 풍차'처럼 생겼고, 날개가 다른 형태로 달려있는 풍력발전소도 많으나 저는 아직 그런 풍력발전소들을 한 번도 보지 못해 버킷리스트에 이 기사 ...
- 사용하기만 했던 변기의 신기한 구조기사 l20210613
- 관을 타고 집안으로 역류하는 독한 가스가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1775년, 알렉산더 커밍이라는 사람이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S트랩을 발명하므로서, 그 문제가 해결되고, 오늘날까지 내려왔다고 합니다. -사이펀의 원리 높은 곳에 위치한 통에 담긴 액체를 아랫쪽으로 구부러진 관을 통해서 수면의 높이 이하로 이동시키면 계속해서 액체가 아랫 ...
- 친환경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자 - [수력발전]기사 l20210612
- 물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수력발전소의 발전과정에서 보시다시피 수력발전은 물이 떨어지는 힘을 이용하기에 별도의 연료 공급이 필요하지 않아 대기오염 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음을 볼 수 있습니다. 수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해 낙차가 커야 하며, 낙차를 키우는 다양한 발전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을 ...
- [6/15 기획] 하수도 결함 점검하는 로봇 개!놀이터 l20210611
- 주인공은 취리히 연방공대학교 마크로 후터 교수팀이 만든 인공지능 로봇 개 '애니말'입니다. 애니발은 네 발을 이용해 하수도 안을 성큼성큼 거닐고, 발바닥에 붙어 있는 촉각센서로 하수도 벽의 거칠기를 판단해 하수도의 결한 정도를 분석합니다. 애니말이 활약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