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정확히 측정하려면 전국 방방곳곳에 증발산계를 설치해야한다. 다른 방법이 없을까.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테라 위성에 탑재된 모디스(MODIS)는 중해상도 분광기다. 모디스는 36개 파장의 빛으로 지구를 찍어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지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적외선을 쏘면 지표 온도,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진파 등을 감시해 화산이 언제 분출할지 늘 확인하고 있답니다.지난 1월 7일 NASA(미국항공우주국)의 과학자들은 하와이에 바퀴가 두 개 달린 작은 로봇을 보냈어요. 길이가 30cm에 불과한 이 로봇의 이름은 ‘볼케이노봇1(VolcanoBot1)’. 뜨거운 마그마가 지나간 자리에 생긴 균열을 확인하고 땅 속에서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최종 목표는 영양분과 산소, 단백질, 약물이 전부 맞춤으로 나와 세포를 키우는 ‘항공모함 스캐폴드’를 3D 프린터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심 교수와 조 교수 공동 연구팀은 혈관세포나 근육세포 등을 도면대로 출력해 인공 장기를 만드는 연구도 시작했다. 연구팀은 장기를 화학처리해 ... ...
- [과학뉴스] “여기는 탐사선 던, 소행성 세레스 14만 km까지 접근 중”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천체이자 유일한 왜행성인 ‘세레스(지름 950km)’가 처음으로 얼굴을 드러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월 4일, 미국의 소행성 탐사선 던(Dawn)이 세레스에 14만km까지 접근해 찍은 영상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얻은 가장 선명한 영상으로 크레이터가 보이기 시작했다. 던은 2007년 9월 발사된 무인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한국은 특히 생물학과 재료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2006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진새트-1(GeneSat-1)’ 등, 정육면체 세 개 크기(3U)의 위성으로 생명과학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주로 우주환경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유기물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지 등을 모니터링했죠. ... ...
- 베일 벗은 ‘페르미 버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년 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우주망원경이 우리은하 중심에서 감마선을 내뿜는 거대한 *버블을 발견했어요. 이 버블은 우리은하의 팔과 수직한 방향으로, 그 길이가 약 5만 광년에 달했어요. 그동안은 우주 안개에 가려 잘 보이지 않다가, 당시 연구팀이 망원경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 ...
- [과학뉴스] 태양돛 올려 우주여행 떠나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람이 여행에 이용하기에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것이 흠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사람이 타고 여행을 하려면 돛 길이가 수십km 이상은 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수학자 알렉산드르 흐렌니코프와 리하르트 쿠란트가 개발했다. 1950년대 중후반부터는 항공기와 구조해석에 쓰였고, 1960년대에는 도시공학, 토목공학에 쓰였다. 1970년대에는 응용수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했다.최근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대 토목공학과 모스타파엘-스하미 교수팀은 유한요소법을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안정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거나 환경오염 감시, 정찰 및 안전감시, 농작물 관리 시스템, 항공기 수명 진단 등 사물인터넷 중 안전관리 분야의 잠재력이 가까운 미래에 폭발할 겁니다. 여기에 쓰이는 환경감시나 안전점검 센서를 주변 에너지로 구동하면 배터리 교체 없이 수 년 이상 쓸 수 있죠.” ... ...
- [Hot Issue] 제1회 우주 청소기술 경연대회 - 우주쓰레기 뭘로 없애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월 2일 오후,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JSpOC)에서 긴급한 연락이 왔다. 우주 파편이 한국의 과학기술위성3호에 최고 23m까지 접근해 충돌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다행히 파편이 위성에서 1km 거리를 두고 빗겨 지나가며 위기를 모면했지만, 하마터면 영화 ‘그래비티’처럼 위성이 박살날 수도 있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