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계속해서 등장하기에, 처음 발견된 지 1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초전도 현상은 물리학자들에게 여전히 새롭게 다가옵니다. 언젠가는 고온 초전도체가 우리 사회를 바꿔놓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강민구POSTECH 물리학과를 졸업 한 뒤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실 연구원을 거쳐 미국매사추세츠공대(MIT)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퀸메리대학교의 길렘 앙글라다-에스쿠데 박사지요. 이들은 모두 외계행성을 연구하는 과학자랍니다. 도대체 외계행성이 무엇이기에 이들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된 걸까요?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중심별’이라고 해요. 태양계 밖에는 수많은 중심별이 있는데, 그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쓰기에 불편합니다. 각을 효율적으로 쓰려면 더 작고 편한 단위가 필요했기 때문에 수학자들은 ‘라디안(rad)’이라는 새로운 단위를 만들었어요. 실제로 도(°)는 미터(m)나 리터( ), 라디안(rad)처럼 국제 단위계에 등록된 공식 단위가 아니라는 사실! 각도에 붙은 별별 이름들라디안을 본격적으로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사실 대중에게 뇌공학이라는 분야는 낯설다. 그는 “뇌공학자들의 연구실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앞으로 미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해양무척추동물을 연구해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어려서부터 꿈이 과학자였기 때문에 자연과학부에서 지질학, 고생물학을 공부했다. 그러다가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게임 개발자가 됐다. 게임 개발자 중에는 컴퓨터공학이나 미술 전공을 한 사람이 많다. 하지만 나처럼 다른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molar mass, 단위 kg/mol)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보가드로 상수를 결정할 때에도 과학자들을 오랫동안 괴롭혔던 문제가 실리콘의 몰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었다. 아보가드로 상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완벽에 가까운 실리콘 단결정 구를 만든다. X선으로 격자 상수를 정확히 측정해 ... ...
- [Issue] 한국 출산율 하락, 숨겨진 원인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렇다면 왜 한국 여성들은 결혼을 기피할까. 문화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경제학자의 입장에서는 여성의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흐름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국과 주요 선진국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비교해 보면,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까지는 다른 선진국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암흑물질의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이다.윔프에 대한 이론은 1977년 암흑물질의 존재가 물리학자들 사이에 막 알려지기 시작하던 때, 이휘소 박사와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의 초기 우주론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난 3월 14일, 세계적인 물리학 거장 ‘스티븐 호킹’ 박사가 세상을 떠났어요. 55년 간 자신을 괴롭히던 ‘루게릭병’ 때문이었지요. 이 소식이 전해지자 전세계에서는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애도의 물결이 일었어요. 우주로 돌아간 호킹 박사를 기리며, 그의 삶을 함께 돌아보아요. “비록 ...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때도 함수와 통계를 이용할 수 없을까 고민했습니다. “나는 수학자도 아니고 식물학자도 아닙니다. 하지만 다이시 톰프슨처럼 생물의 구조에 관심이 있습니다. 식물의 아름다움은 구조에서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무라야마가 무기 식물 프로젝트로 톰프슨처럼 수리생물학을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