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악"(으)로 총 3,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팔의 움직임을, 구글 글래스 카메라로 먹는 음식을, 스마트폰 GPS로 식당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식이다.이번에 공개된 시스템은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유용할 전망이다. 특히 함께 공개된 혈당 측정용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잡는다고 능사가 아니다. 결정적 한 방을 노린다면 어서 인터넷으로 2주간의 날씨부터 파악해야 한다. 평소처럼 단순히 비가 오는지, 얼마나 추운지를 보는 것이 아니다. 진짜 확인해야 할 것은 ‘일조량’과 ‘습도’다.먼저, 일조량은 많아야 유리하다. 호주 베이커 심장 연구소 연구팀은 101명의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회절현상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X선 회절은 물질의 정확한 구조를 파악할 때 유용하다. 그런데 단백질은 강력한 X선을 쬐면 타버리기 때문에, 관찰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을 냉각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문제는 냉각할 때 단백질 안에 있는 물도 같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해 단백질 ...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바나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밝혀졌답니다.카디날 연구원은 “철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기술은 철새의 종족 보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적합한 항생제를 추천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과거에는 항생제의 내성 여부를 파악하는 데 수 일에서 수 주가 걸렸다. 병원균을 추출해 배양한 뒤 고성능 컴퓨터로 전체 DNA를 분석하거나, 항생제를 적용한 뒤 나타나는 반응을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황이 대기 중에서 어떻게 이동해 황산 구름을 만들어내는지를 파악해 황 순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존재할 것이라고 추정은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눈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는 금성의 번개도 있다. 번개는 존재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금성의 구름 형성에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찾아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윤곽선 또는 실루엣은 사물의 생김새를 파악하는 핵심 수단이지요.동물도 깜빡 속는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신경과학과 뤼디거 폰 더 하이트 교수는 원숭이도 사람처럼 주관적 윤곽선을 본다는 점을 처음 밝혔어요. 하이트 교수는 시각에 관여하는 대뇌 피질의 V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아골 교수의 증명은 물리학자들에게도 기쁜 소식이었다. 왜냐하면 우주공간의 모양을 파악하는 데도 다양체 분류 문제는 중요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우주가 유한하다고는 생각한다. 하지만 우주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알고 있지는 않다. 아골 교수는 우주가 가질 수 있는 모양의 경우의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활용 분야는 원자력 안전이다. 2015년 초부터 일본은 후쿠시마 핵발전소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뮤온을 검출하는 장치를 설치했다. ‘뮤온’은 표준모형의 17개 기본 입자 가운데 하나로, 매 순간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우주선(cosmic ray)이 대기와 반응해서 생성된다. 특히 이 입자는 물질을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의대 교수는 “정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변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변화에도 대처할 수 있다. 조현병과 조울증은 1800년대 후반까지 가을에 태어난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했다. 그러다 1900년대 초반으로 넘어가면서 지금처럼 봄에 태어난 사람 중심으로 변했다. 미국(1938년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