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
조사
탐색
추구
수색
육성
교육
d라이브러리
"
탐구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싹 잔치' 뒷바라지 큰 보람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국내외로 뛰어다니며 조사하고 운영비도 마련해, 수많은 전문가의 협조로 자연탐사 과학
탐구
과학연극 과학시범 과학토론 등을 개최했다. 이때의 '과학 싹 잔치'는 과학교육에 새바람을 불어 넣었던 사건으로 참으로 보람있는 일이었다. 전국에서 모인 수천명의 청소년들을 보살피느라 숨도 작게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번째는 미분, 두 번째는 적분에 해당한다.뉴턴이 대학의 연구실에 틀어박혀 집중적으로
탐구
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라이프니츠는 영주 밑에서 외교에 종사하며 당대의 학문을 폭넓게 섭렵했다. 그는 1672년부터 4년간 외교 사절로 파리에 머물렀는데, 거기서 당시 유럽의 최고 과학자였던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내렸다 하는 동작은 물체의 무게를 알아보기보다 물체의 질량을 알아보는 행위이다.(
탐구
문제2) 동물들은 어떻게 움직일까 동물들은 끊임없이 움직이낟. 그러면서 먹이나 친구를 찾기도 하고, 때로는 적으로부터 필사적으로 도망치기도 한다. 이들은 제각각 다른 방법으로 운동을 하며, 그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
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재미있게 배우기 위한 조건을 찾아봤다. 또 그 방법에 의해 산성비 단원에 대한
탐구
방법도 알아봤다. 이것을 보면서 지난날 배웠던 과학 교과서와 사뭇 다르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좀더 재미있고 좀더 적극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것이 공통과학의 특징이다. 이제 남은 것은 여러분들이 공통과학을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난 작은 기사도 예사롭게 보지 않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생활과 연결된 사례의
탐구
활동을 하면 이렇게 자신의 생활과 직접 연결시켜 생각하게 된다.공통과학에서는 가치관과 연결된 과학의 실천방향에 대해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과학이 가치중립적이라고 생각하던 때가 있었다. 과학은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크게 다르지 않았다.부정적인 여론에 낙심한 그레이는 나머지 두가지 영역을 집중적으로
탐구
해 곧 중요한 결실을 얻었다. 우선 그는 수신기 성능을 증대시켜 두 옥타브의 음역을 낼 수 있는 오르간을 개발했다. 또한 전송기의 접속 형식과 압력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를 전달할 수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만들기, 뜨겁지 않은 불꽃 등 흥미로운 일상생활 속의 소재들을 과학 원리를 이용해
탐구
해보는 자리였다.이번 행사에 참석한 학생들은 국민학생부터 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국민학생들은 부모와 함께 참여한 경우도 많았다. 문영광군(삼능국교 5학년)은 "모든 것이 재밌다" 며 "학교에서 ... ...
1. 공부방법 달라진 공통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보기 위해서 암기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래서 "공통과학은 중학교에서 배운 개념만으로
탐구
학습으로 꾸몄다"는 것이 교육부 자연과학편수관실 문수한 연구사의 말이다.공통과학을 잘 이해하고 잘 배우려면 학교에서 하는 실험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 평소 신문과 방송, 과학잡지를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공통과학을 잘 배우려면 무엇보다 과학에 흥미를 붙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다.
탐구
학습으로 이뤄진 공통과학은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해답을 내려고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문과생의 경우 공통과학만 배우면 과학에 대해 더이상 배울 기회가 없다. 그래서 이번에 잘 배워두면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정권이 바뀌기 때문이라고 생각해 그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준다.모처럼 통합과학과
탐구
학습을 담은 과학교육이 그 실시를 앞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그러나 박승재교수는 "그 방향과 목적이 타당하다면 부족한 것은 메우고 모자라는 것이 있으면 보충해 가면서 다듬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