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금속이나 반도체의 양끝을 연결해 전기회로를 만든 뒤, 한쪽에만 열을 가하면 온도 차이가 생기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소금 한 숟가락으로 물 500L를 소독한다고?지난 해 유엔환경계획은 전세계 인구 중 3억 2300만 명이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다고 밝혔어요. 그리고 해마다 340만 명이 오염된 물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코헨은 명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그림에 사용하는 색의 개수에 따라 어울리는 명도 차이를 정리해 알고리즘으로 만들었어요. 그 결과, 아론은 적절한 색을 칠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새로운 화풍을 개척하다, 딥드림최근에는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을 활용해 예술 활동을 하는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암컷에 크게 치우친 출생 성비가 관찰된다. 앞에서 개체군 성비가 1:1이 되는 상황과의 차이점을 눈치챘는가. 배우자를 얻으려는 경쟁이 숙주 내에서만 벌어지므로, 어미 말벌의 입장에서는 개체군내의 다른 말벌들이 어떤 성비로 자식을 낳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다른 말벌들이 모두 딸을 더 많이 ...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강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지요. 무려 833개의 다양한 종이 있고, 개체수도 많아 형태에 차이가 커요. 하지만 모두 머리 뒤쪽에서부터 꼬리까지 길게 이어진 등지느러미를 갖고 있답니다.물도 없는데 정말 육지에서 산다고?최근 호주국립대학교와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공동연구팀은 남태평양 쿡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효과’라는 원리가 숨어 있어요. 펠티어 효과는 두 종류의 금속에 전류를 흘려 주면 온도 차이가 생기는 현상이에요. 제벡효과와 정반대지요.즉, 오토바이의 발전기를 백신 냉장고에 연결해 전류를 흘리면, 한쪽 면에서는 ●흡열이 일어나 온도가 낮아지고, 다른 면에서는 ●발열이 일어나 온도가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렇게 아시아인들을 세분화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 교수팀은 민족 간 차이가 큰 Y-STR의 패턴을 분석해 통계적으로 분류의 정확도를 높였는데요. 터키, 시리아, 이란 등 서남아시아인을 분류할 때는 86.8% 정확히 분류해 정확도가 가장 높았고, 동남아시아 인을 분류할 때는 72.16%로 가장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1000개 중 적어도 20개가 다르고요. 유전학과 수학이 힘을 합쳐 알게 된 사실이지요.이런 차이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DNA의 네 염기 중 A는 T와, G는 C와 상호보완적으로결합합니다. 그래서 만약 TGCA라는 염기 배열이 있으면 그 옆에 ACGT라는 염기 배열이 붙게 되지요. 그런데 DNA 복제 과정에서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밝히고자 할 때 리보솜을 구성하는 소단위체의 RNA(16S rRNA)를 이용한다. 동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다른 종 사이에서는 큰 다양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세 명의 피부 미생물 군집은 눈에 띄게 달랐으며(위 사진), 두 사람이 같은 계통의 미생물을 공유하고 있을 확률은 13%에 그쳤다. 또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A라는 사람의 뇌와 폐에서 보이는 DNA 메틸화 차이보다, A의 폐와 B의 폐 사이의 DNA 메틸화 차이가 더 작았다는 의미다. 이는 조직마다 고유한 DNA 메틸화 패턴이 있고, 이를 이용해 조직을 식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조직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현장에서 발견된 조직이 뇌나 ... ...
- [과학뉴스] 양의 눈을 바라봐 난 괴로워지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척도를 사용할 수 있게 사람들을 교육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고, 개인별로 측정점수의 차이가 커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연구팀은 양 고통 표정 척도를 인공지능에 가르친 뒤, 수의사가 양을 치료할 때 찍은 사진 500장을 학습시켰다. 실험 결과, 약 80%의 정확도로 질병에 의한 양의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