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사물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중량, 굳기 등)과 인간의 감각에 기인하는 것이 있음을
지적
했다 방위 분포가 혼란한 동종 미세결정 집합체에 의한 단색 X선의 회절상 데바이고리, 데바이 헐고리라고도 한다강한 전해질 용액에 관해 1923년에 P 데바이와 E 휘켈이 제창한 이론 강한 전해질 용액에 관해 192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궁극적으로 이런 유전자 발현의 차이가 인간과 침팬지 사이에 확연하게 나타나는
지적
능력, 언어능력, 그리고 직립보행 등의 특징을 만들고 있다고 생각된다.복잡한 뇌 만드는 잃어버린 유전자유전자 발현뿐 아니라 침팬지에 비해 인간만이 갖는 독특한 유전자도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인간을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송 교수는 고전적인 과학철학에서 과학의 역사와 사회로 눈을 돌린다. 과학이 순수한
지적
호기심의 추구이므로 그것은 아름다운 것이고 설사 잘못 이용되더라도 과학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은 틀렸다고 보기 시작했다. 그는 “과학이 좋은 쪽으로나, 나쁜 쪽으로 응용될 수 있는데, 이것을 만든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단열불변량의 개념을 도입했고 1916년 P 에른페스트가 양자론에서 단열불변량의 중요성을
지적
했다 시뉴소이드(상송) 도법으로 그린 지도를 고위도지방에 위치하는 대륙의 왜곡을 작게 하기 위해 단열하여 수정한 도법 시뉴소이드 도법은 적도와 중앙경선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거리와 각도의 왜곡이 ... ...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나선 구조 발견은 20세기에 인류가 이룩해낸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세기의
지적
분수령이 된 대발견은 겨우 20대였던 청년 왓슨이 이룬 성과였다. 왓슨은 그 성취가 한달 동안 자신을 기쁘게 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앞서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형질이 자식에게 물려진다고 생각했다.다윈과 19세기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됐음을
지적
한 사람이 멘델이었다. 그는 1856년부터 7년 동안 완두콩 교배실험을 통해 씨앗마다 어떤 유전형질을 갖고 있는지, 또 어떤 경우 잡종이 나오는지를 알아보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유전은 피가 섞이는 것과 같은 ... ...
압축프로그램이 찾아낸 오디세이아의 진짜 저자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전쟁이 더 명분이 있지 않습니까.그런데 과학자들에게도 호메로스는 인기가 많습니다.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의문점이 그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이 의문을 과학자들이 해결했다고 주장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이른바 ‘호메로스 의혹’은 1795년 독일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라는 ...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확인했다.마지막으로 서 단장은 정부가 지원하는 소재 관련연구가 그리 많지 않다고
지적
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나노소재와 관련된 큰 규모의 사업으로는 사업단 외에‘나노핵심기술개발사업’이 있다. 이 사업에 나노분말 연구과제가 일부 포함돼 있을 뿐이다. 그래서 서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약 10개 정도가 문명세계를 만들어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그렇다면 우리와 같은
지적
생명체가 적당한 환경에서 발생해 우리와 통신할 확률은 너무나 작은 것이다. 어쩌면 인류는 자신의 존재만으로 만족해야 할지 모른다.무한대 분의 1약간은 황당한 질문일지 모르겠지만, 우주에서 가장 낮은 ... ...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하의 세계가 개척됐다. 1932년 전자현미경을 발명함으로써 마이크로 이하 세계에 대한
지적
욕구가 충족되기 시작했다. 전자현미경의 분해능은 대략 0.1nm이고 10만배 이상의 배율을 얻을 수 있다. 1980년대 들어 주사터널링현미경과 원자력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인간은 간접적 이미지이지만 원자나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