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804년 7월 20일 ‘공룡’ 이름 만든 리처드 오언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다리가 골반의 옆에 붙어있어 어기적어기적 기어다닙니다. 게다가 화석의 골반에는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뼈도 붙어 있었어요.이 관찰을 토대로 1842년, 리처드 오언은 세 화석 동물이 현존하지 않는 새로운 동물이라고 발표합니다. 그는 이 동물들에게 ‘무섭다’는 뜻의 그리스어 ‘데이노스(deinos ... ...
- [통합과학 교과서] 도깨비의 노래 연습을 도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지금은 다들 자는 시간이랍니다. 조금 조용히 해 주세요.”“앗, 저는 야행성이다 보니 지금 일어났어요. 조금만 양해해 주시면 안될까요? 곧 오디션이 있거든요. BTS처럼 세계인의 인기를 얻을 가수가 되려면 열심히 연습해야 한답니다. 흑흑.”이웃의 요청에 안절부절하던 도깨비가 마침 길을 ... ...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14화. 함께라면 문제없지, 해롱호 대원들 임무 완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만나고 싶다고 하셨나요, 손님?”해롱 선장이 천천히 몸을 돌렸습니다. “어, 어, 그게저 지금은”당황한 해롱 선장이 말을 너무 더듬었습니다. 배사 공작이 점점 의심스러운 표정을 짓자 딱지가 한 걸음 앞으로 나왔습니다. “제가 공작님의 열렬한 팬이거든요. 그래서 오늘 꼭 함께 사진을 ... ...
- [특집] 미래 화폐 최강자를 가린다? 암호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어. 암호화폐는 정말 미래 화폐가 될 수 있을까? 지금부터 후보 검증을 시작해 보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미래 화폐 최강자를 가린다? 암호화폐Part1.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Part2.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Part3. [특집] ... ...
-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발행, 거래하는 화폐 탄생!세상에 첫선을 보인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이에요. 2008년, 지금까지도 정체가 모호한 인물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했어요. 그는 정부만 화폐를 발행하면 그 이득은 소수가 취하고 손실은 일반사람들이 다 떠안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사용자가 같이 발행, ... ...
- [특집] 점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사람들은 아주 먼 옛날부터 나에 대해 관심이 많았어. 뭐라고 이야기했는지 들어 봐. 지금으로부터 약 2300여 년 전,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는 이라는 책에서 ‘점’을 정의했어요. ‘정의한다’는 건 무언가의 뜻을 명확하게 밝힌다는 말이에요. 에우클레이데스에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차원’, 더 많은 점이 모여 면을 이뤘지만 아직 납작한 세계를 ‘2차원’이라고 불러요.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는 면과 면이 만나 입체로 우뚝 솟은 ‘3차원’ 세계예요. 즉, 우리는 아주 작은 점에서 시작된 3차원 입체 세계에서 살고있는 거랍니다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그물무늬 패션의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점무늬가 있지.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다각형 모양의 기린 무늬가 가장 독특하지 않니? 지금부터 기린 몸에 있는 무늬의 비밀을 하나씩 알려줄게. 비밀 1. 다각형 무늬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기린 무늬는 모양이 조금씩 다른 여러 다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요. 이와 비슷한 무늬는 잠자리 ... ...
- [특집] 점선면 마을의 전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붉은 얼굴 점이 말했어.“점선면 마을이 탄생하게 된 전설이 있어. 들어 볼래?” 지금으로부터 2300여 년 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수학을 가르치던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는 처음으로 점, 선, 면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정리했어요. 에우클레이데스는 수많은 점이 끝없이 이어질 때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결과, 현재는 라이프니츠와 뉴턴 두 사람 모두 미적분의 발명자로 인정받고 있어요. 지금도 미적분을 계산할 때는 라이프니츠가 만든 기호가 여전히 쓰인답니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