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d라이브러리
"
주목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음파유전학이나 자기유전학 등이
주목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음파나 자기장은 빛과 달리 피부와 두개골을 통과할 수 있어, 광섬유를 집어넣지 않아도 뇌 속으로 자극을 배달할 수 있다. 유전자 삽입이 더 큰 문제사실 뇌 안에 빛에너지를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원자핵과 에너지, 그 필연적 만남원자핵의 구조가 밝혀짐과 동시에 물리학자들이
주목
한 것은 이전에 몰랐던 ‘새로운 힘’이다. 전기적으로 같은 극성을 가진 물질은 서로 밀어낸다는 게 전자기학 법칙이다. 그런데 양성자는 이 법칙을 거슬러 뭉쳐 있다. 이는 전자기 상호작용보다 더 강력한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은색 개미는 보통 개미와 달리 몸 전체가 은색 털로 뒤덮여 있어요. 연구팀은 이 털에
주목
하고, 개미의 머리와 몸에 털이 있을 때와 털을 제거했을 때의 체온을 열 감지 카메라로 변화를 측정했어요. 그 결과 같은 환경에서 털을 제거하자 체온이 5~10℃ 더 올라갔답니다.사하라사막 은색 개미의 털을 ... ...
연꽃잎으로 메타물질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안 되죠?진병관 교수팀은 뇌에서 열과 고통을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TRPV1 단백질에
주목
했어요. 쥐에게 TRPV1의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을 투여하자 도파민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았거든요.이 현상을 목격한 연구팀은 캡사이신이 TRPV1의 작용을 활발하게 만든다는 기존 연구 결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 ...
[과학뉴스] 비행과 수영이 모두 가능한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실제로 개발해 발표했어요.로버트 우드 교수팀은 ‘코뿔바다오리’라는 새의 움직임에
주목
했어요. 코뿔바다오리는 날갯짓의 속도와 각도를 본능적으로 변화시켜 날개에서 발생하는 물과 공기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요. 그 결과 비행과 수영을 능수능란하게 할 수 있지요.연구팀은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이즈음 투유유 교수는 전통 의학 서적에서 국화과 식물인 ‘칭하오(개똥쑥)’에
주목
했어요. 이 식물에 들어 있는 ‘아르테미시닌’ 성분이 말라리아를 치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거든요. 이후 1971년 투유유 박사는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 성분을 추출해 말라리아 치료제인 ‘칭하오쑤’를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종류와 수가 바뀌는데엔 다양한 이유가 얽혀 있을 거라고 보고 있어요. 그 중에서 가장
주목
받는 원인은 ‘수온 변화’예요. 물고기들은 0.03℃의 수온 변화까지 몸으로 느낄 수 있거든요. 어린 물고기들은 더 민감하고요.그런데 동해의 표층 수온은 지난 40년간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1.5℃ 정도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케터링 암센터 에릭 메이머 교 수팀은 항생제로 사라지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 두 종 류에
주목
했어요. 한 슈퍼 박테리아는 반코마이신이 라는 항생제가 소용없는 장알균(Enterococci)이고, 다른 하나는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이에 요. 이 슈퍼 박테리아들은 장 속에 무리를 이루고 살 면서 다양한 ... ...
수학으로 계산해 새로운 생물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우리 몸에서 단백질 양이 많아지면 이후에는 단백질을 적게 만들도록 조절하는 과정에
주목
했어요. 그리고 이때 일어나는 변화를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했어요. 그 뒤 대장균에 이 계산을 적용해 보았더니 계산대로 단백질 양이 조절됐답니다.김 교수는 “아직은 부족한 생물학과 수학의 교류가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않은 소수성 물질이 발라져 있어 진짜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 뜰 수 있답니다.이 로봇이
주목
받은 더 큰 이유는 물 위를 폴짝폴짝 뛰는 소금쟁이의 행동까지도 그대로 따라했기 때문이에요. 연구팀은 1초에 500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로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도약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그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