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열쇠-자물쇠 시스템을 개발했다. DNA앱타머란 마치 항체처럼 단백질 같은 표적분자를
인식
해 달라붙은 특정한 염기서열의 DNA 가닥이다. 표적분자가 없을 때는 앞의 육면체 나노박스처럼 뚜껑의 DNA단일가닥(앱타머)과 본체의 DNA단일가닥이 이중나선으로 결합해 잠겨있다. 뚜껑을 열려면 앱타머의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영국에서 발행되는 저명한 주간과학저널인 ‘네이처’는 1869년 11월 4일 첫 호가 나왔다. 네이처가 출간될 당시 비슷한 과학저널이 여럿 나와 있었는데 ... 오랫동안 버려졌던 그의 무덤에는 아래 문구가 새겨진 새 묘비가 세워졌다.‘지문
인식
학의 선구자로서 헨리 폴즈의 업적을 기리며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음향학을 연구했습니다. 연못에 물결이 퍼지는 것처럼 소리의 파동도 퍼져나간다는
인식
을 거쳐 알파라비(Al-Farabi, ca. 870~950)에서 진전이 생깁니다. 그는 “소리를 전달하는 것은 물체 사이의 충격에 의해 공기가 순차적으로 밀리면서 전달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도 음의 높낮이가 생기는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공 뇌도 산수에는 젬병일 것이다. 빠른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는 컴퓨터가, 패턴
인식
처럼 사람이 잘하는 분야에서는 인공 뇌가 활약하는 식으로 서로 보완할 가능성이 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화제가 됐던 아이폰의 음성
인식
‘시리’에도 음성
인식
에 인공지능 기능이 추가됐다. 단순히 명령어 검색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클라우드 ... ...
[3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일반 독자들도 이 기사를 봤다면 과학 선진국이 되려면 사람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는
인식
을 자연스럽게 가질 것이다.분명 아쉬움도 있다. 인터뷰이가 소개한 에피소드에는 엔진 실험을 하다 사망한 희생자가 소개됐다. 드라마틱한 경험을 어떻게 극복했고 그 결과 어떤 과학기술을 확보하게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잘하는 패턴
인식
은 입력 신호가 너무 복잡해서 어려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로 표현이 안 돼 컴퓨터로 처리하기 어렵다.뇌는 오랜 세월에 걸쳐 어려운 문제에 맞게 진화한 하드웨어다. 따라서 우리는 쉽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범행현장 장면을 보여주면 범인의 뇌는 이 장면을 익숙한 자극(다른 종류의 자극)으로
인식
해 P300 뇌파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범인이 아닌 용의자의 뇌는 이 장면을 낯선 자극(비슷한 자극)으로 받아들여 P300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실제로 이 기술은 미국 CIA 같은 정보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뇌의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클레망 아데르가 1897년 만든 ‘아비옹’은 박쥐 모양의 날개로 날갯짓을 하는 구조였죠. 아비옹에는 20마력 증기기관을 두 개 사용했습니다. 산업혁 ... 포착되지 않는 은폐 기능을 의미합니다. 레이더는 B-2 스텔스 폭격기를 고작 참새 크기로
인식
합니다. 날개 길이가 52.4m나 되는데 말이죠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나만이 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지문을 찍고 눈을 대어 안구
인식
을 했다. 음성
인식
도 통과했다.“자신과 같은 것을 마주한다는 건 불편한 경험이죠. 비밀번호도 다 알고, 자기 치부도 다 알고, 능력과 지식과 하다못해 욕망까지 동일하니.”그는 금고 문을 열고 안에 든 작은 뼛가루 단지와 사진을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