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룬다는 점입니다. 홈페이지에서 분과 소개를 보면 진동의 비선형 이론 같은 기초과학부터 펨토초 레이저, 반도체 공학, 전파 천문학 등 원천기술까지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토카막’이라고 하는 도넛 모양의 자기핵융합실험장치도 레베데프 물리연구소에서 처음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는 현대 과학자인 자신의 관점에서 위대한 학자들을 서슴없이 비판하고, 왜 그들의 이론이 틀렸는지 조목조목 짚어낸다. 물리학을 전공한 기자에게 와인버그 교수와의 인터뷰는 여중생들이 마치 ‘방탄소년단’을 실제로 만난 것에 비견할 만큼 가슴 떨리는 일이었다.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발표했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만일 내가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대칭성이 물리 현상에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한다”고 했다. 또한, “끈이론은 미분기하학, 위상수학뿐 아니라 대수기하학, 심지어 정수론까지 사용한다”고 말했다.구멍을 뚫거나 찢지만 않으면 같은 물질이라는 위상적인 특징은 물질이 그만큼 안정적이라는 뜻이다. 현재 ... ...
- Part 3. 바퀴 열차의 한계를 넘어라! 자기부상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선로 위를 떠서 달리는 원리예요. 레일 위를 떠서 달리기 때문에 더 빨리 달릴 수 있어요. 이론적으로 비행기의 속도인 시속 900km까지 달릴 수 있지요.현재 운행되고 있는 가장 빠른 열차도 자기부상열차예요. 중국 상하이에는 독일이 만든 자기부상열차 ‘트랜스래피드’가 최고시속 450km로 운행되고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지각색 화합물 모형과 알 수 없는 수학식이 가득한 화이트보드, 그리고 어려운 공학이론이 적힌 원서가 책장에 가득한 풍경이 떠오른다. 하지만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교수의 방은 달랐다. 수많은 사람의 응원과 환호가 들리는 듯한 황금빛 MVP 트로피와 형형색색 축구화가 눈에 띄었다. 그리고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여러 모양의 상자를 차에 실어야 할 때 필요해요.‘상자 채우기 문제’는 계산복잡도 이론에서 ‘NP-하드’로 분류될 정도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예요. NP 문제는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데 다항식 시간만큼만 걸린다는 뜻으로, 답을 확인하는 과정의 횟수를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문제의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오정근 박사는 “수학자들은 새로운 수학 이론을 탐구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과학적 목표 달성을 위한 라이고의 연구와는 관심사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중력파 검출은 적은 정보로부터 초기우주의 비밀을 알아내는 ‘역문제’의 하나로 높은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튼튼한지 체험할 수 있다. 삼각형을 기본 단위로 구조물을 만들어야 튼튼하다는 이론이 실제로도 옳은지 직접 볼 수 있는 것이다.국무총리상 수상의 기쁨도다양한 SW동아리도 내세울 만하다. 안산해양중학교에는 앞서 소개한 로봇봉사동아리 외에 앱인벤터동아리, 임베디드SW 동아리, 스멋프가 있다.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었다. 그가 노벨상 후보로 꼽혔던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이론물리학 분야의 원로 국가석학은 노벨상 수상자보다도 사회적 자본이 많았지만, 그에게 로버트 브라우트 같은 뛰어난 공동연구자가 없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한국 과학계에 이런 연구 생태계를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