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전투기 또는 잠수함에서 군인의 생명
유지
시스템을 연구하고 보호복을 개발하는 연구들입니다. 여기에 쓰이는 연구 장비는 무기를 만드는 쪽과는 거리가 멉니다. 토론토연구센터는 인간이 어느 정도의 중력을 견딜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중력가속도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전극의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인 면저항이 두 달이 지나도 ITO 전극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
됐다. 기존 구리나노선 전극은 하루만 공기 중에 둬도 면저항이 약 100배나 증가한다. 이 교수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이 갖춰진 셈”이라고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원리를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 이보다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
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개함으로써 빨리 상용화 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IBM은 현재 시스템을
유지
하면서 수년 안에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에 성공하면 유료화 전환을 통해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포브스는 이런 IBM의 전략에 대해 “현재는 IBM이 영업 감소 위기를 맞았지만,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다는 조건이다.”(번역서 85쪽) 복제본의 형태로 수십, 수백만 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
되기에 자연 선택이 그 중 더 ‘이기적인’ 버전을 마음 놓고 고를 수 있게 해주는 실체를 도킨스는 ‘복제자’라고 불렀다. 물론 지구를 장악한 복제자의 일종에게 붙여진 이름은 유전자다. 요컨대, 복제자는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용각류 공룡들은 커다란 몸집을
유지
하기 위해 하루 종일 많은 양의 식물을 먹어야 했어요. 대표적인 용각류인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몸무게가 30∼80t, 목 길이만 12m인 대형 공룡으로, 하루에 식물을 2t씩 먹었다고 알려져 있지요. 이 때문에 용각류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
하는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궤도 인근에 다른 천체들을 흡수하거나 튕겨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하는 반면, 광섬유는 흔들리거나 주변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도 앙자효율을 높은 상태로
유지
한다. 전투상황에 더 적합한 셈이다. 최근 독일 군수업체 ‘라인메탈 디펜스’가 80kW급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무기의 제작 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광섬유 레이저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적당하다. 문제는 삼지창은 포크처럼 창살이 여러 개로 갈라져 있어 초공동 현상이
유지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창살에 초공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이것들을 가로로 잇는 가로방향 봉 때문에 초공동이 길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창살 간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거나, 당초 계획했던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면역세포(특히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래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
하기 위해 면역 활성화 시스템과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모두 갖고 있다. 그런데 암세포는 면역체계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강화한다. 이렇게 되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이루는 분자인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