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페이스북에 없다면 현재로서는 인식이 불가능하다. 얼굴 인식 과정은 다소 복잡하다. 우선 사진에서 얼굴의 주요 부분을 분석해 3D 그래픽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정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변환한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동남쪽의 이스라엘에서 활동하는 테러 단체가 비슷한 방식으로 공격한다는 것이다.우선 대부분의 테러 조직은 이길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힘과 마주했을 때 테러를 실행한다. 다음 공격은 뉴스를 통해 지난 번 테러의 피해 규모를 보고 결정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테러가 특정 기간에 폭발적으로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슬람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모스크를 찾았어요. 모스크는 이슬람교의 예배당을 말해요. 우선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자멕 모스크’에 갔어요. 이슬람 국가에서는 도시 중심부에 ‘자멕’이라는 이름을 가진 모스크를 짓는다고 해요. 이곳 자멕 모스크 역시 1965년 ... ...
- [체험] 보드게임의 꽃! 공정한 주사위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하면 정육면체만 떠오르는 우리에겐 매우 생소하다. 하지만 주사위의 종류는 제법 많다. 우선 공정한 주사위가 되려면 주사위 각 면이 나올 확률이 모두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다면체라면 모두 공정한 주사위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주사위로는 벨기에의 수학자 외젠 샤를 카탈란이 발견한 ‘카탈란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91년이 돼서야 체계적인 재래닭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재래닭은 외모부터 확연히 다르다. 우선 외래종에 비해 날씬한 편이다. 키는 30cm 미만, 몸무게는 평균 2.4kg(수컷), 1.9kg(암컷)이다. 몸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후라이드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름에 튀기면 근육만 남아 고무처럼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재미있게만 보였지만, 막상 실제로 생활하려니 어려운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우선 허공에 떠 있다 보니, 어느 쪽이 위쪽이고 어느 쪽이 아래인지 개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더구나 우주선 내부의 모든 벽면에는 기계 장치가 붙어 있어서 도대체 어디가 바닥인지 구별조차 하기 어려웠다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땋임’이라고 하는데, 그 모양은 매우 다양하다. 이를 이용한 암호가 땋임 암호다. 우선 실을 꼬고 각각의 마디를 서로 다른 기호로 대응시킨다. 그리고 이 기호를 곱셈 꼴로 변환하면 암호가 완성된다. 이 암호는 곱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암호 해독이 어렵다.➌ 양자 암호빛 입자를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순신 동상, 세종문화회관, 경복궁 등의 위치를 수집해 머릿속 지도를 만드는 게 우선이다. 이때 각 장소마다 다른 장소세포가 전기신호를 만들어 위치를 기록한다. 이 세포들이 모여 머릿속 지도가 된다고 오키프 교수는 생각했다. 그는 1971년 학술지 ‘브레인 리서치’에 이런 이론을 발표했지만 ...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미래에는 머리에 다이아몬드를 꽂은 사람이 탄생할까. 뇌에 다이아몬드를 삽입해 신경을 조절하는 차세대 기술이 개발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오바 ...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도서관에서 책 찾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라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선 슈피처 교수의 지적대로, 사전 지식이 없으면 아무리 정보가 많아도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로는 뇌가 나태해진다. 우리 뇌는 어딘가 기억력을 의지할 곳이 생기면 금세 정보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