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 척주 : 우리 몸통의 세로축을 이루는 척추뼈와 연골 기둥.] 파리는 고기를 좋아해~13세기 중국 변호사인 ‘성 쭈’가 쓴 책에는 처음으로 법곤충학을 이용해 사건을 해결한 사례가 기록돼 있어요. 한 사람이 낫에 베여 죽었다는 사실 외엔 아무런 단서가 없는 살인사건이었죠. 이때 이 마을의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퍼져나가는 걸까? 꽃가루가 퍼지는 모양 속에 수학적인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닐까?17세기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꽃가루가 살아 있는 생물이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인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827년 영국의 식물물리학자 로버트 브라운은 물에 뜬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새로운 사실을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받은 것은 처음”이라며,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승리”라고 밝혔다.끝나지 않은 도전세기의 대국은 이제 마지막 대결만을 남겨두고 있었다. 마지막 대국에서 이세돌 9단은 흑돌을 쥐었다. 알파고가 흑돌을 잡았을 때 약한 모습을 보이자, 알파고가 강한 모습을 보이는 백돌을 잡았을 때 얻은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든 것우주의 99%를 가득 채우고 있는 플라스 마는 의외로 발생 조건이 까다로워 19세기 후반에야 그 존재가 확인됐다. 처음으로 플 라스마를 ‘만들어낸’ 사람은 1879년 영국 의 화학자였던 윌리엄 크룩스 경. 그는 진공 상태의 방전관 양 끝에 전극을 달고 전압을 걸면, 기체와는 다른 ‘빛나는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부록에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새로운 문제를 다뤘다. 현대 과학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교토대 과학수업’은 본격적으로 과학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책이다. 벌써 ... ...
- [수학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한 앤드루 와일스,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의 올해 수상자는 누구일까요? 노르웨이학술원은 17세기 수학자 페르마가 남긴 마지막 정리를 해결한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를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학술원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만큼 수학적 역사가 풍부하고 극적인 증명이 없다’며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풀기가 굉장히 까다롭다. 그 해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 20세기에 수학이 놀랍도록 발전하면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이 만들어졌다. 컴퓨터의 성능도 획기적으로 좋아져 복잡하거나 계산의 양이 매우 많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측정 장치의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려는 시도에서 비로소 시간의 실체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0세기는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꽃을 피운 시대였고, 물리학자들은 위대한 두 이론을 당연히 통합하려고 했다. 예를 들어, 우주 전체를 파동과 같이 양자역학에서 주로 다루는 성질로 설명하는 식이다. 잘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화를 종 전체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라고 해석하는 집단 선택설이 대세를 이룬 20세기 중반. 자연 선택이 개체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개체 선택설은 어떻게 다시 힘을 얻었을까. ‘다윈 이후 가장 위대한 다윈주의자’라고 불린 윌리엄 해밀턴의 등장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뭔가에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난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하루 전에 막 끝난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대국’에 크게 고무된 듯 했다. “패러다임의 전환도 일어날 겁니다. 문화 충격, 교육의 변화, 산업계의 변신 등 흩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한 줄기로 모일겁니다. 앞으로 어디로 그 흐름이 이어질지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