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율"(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나타낼 화소 수를 조절해 사진의 해상도를 바꿀 수 있다. 1600만 화소 카메라로 가로세로 비율이 4 : 3인 사진을 찍을 때면 최대 해상도를 4608×3456까지 높일 수 있다. 가로 4608개, 세로 3456개의 점으로 이뤄진 사진을 얻는 셈이다.4608×3456=15925248같은 장면을 찍을 때 화소 수가 많은 카메라는 더 세밀한 ...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늦춰 비눗방울이 오래 유지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는 물과 세제, 글리세린을 6:2:2의 비율로 섞으면 크고 오래가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비눗물에 밀가루나 설탕을 넣는다?비눗물에 밀가루나 설탕, 물엿 등을 넣으면 비눗방울이 오래간다. 이들은 끈기가 있어 물기를 잘 잡는 글 리세린의 ...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기록 단축에 도움을 받는 것이다.또한 선수들은 보통 스트로크 수에 대한 수영 거리 비율을 많이 분석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선수가 100m를 스트로크 35회로 완주했다면, A선수의 스트로크 1회당 이동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잠영으로이동한 거리는 완주거리에서 빼고 계산해야 한다. 만약 ...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간 융합을 통한 공동연구는 최근 기초과학 연구의 대세다. 최근 노벨과학상의 공동수상 비율은 78.9%에 이른다.Q. 중이온가속기는 어떤 것인가A. 중이온가속기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유일한 대형 실험시설이다. 1.08km²(약 32만 평) 용지에 지름 10m의 원형가속기와 길이 약 700m의 선형가속기, ...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점에 착안해 호주 전역에 있는 바위 거주지 300개가량을 조사해 거주 흔적이 사라지는 비율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실제로 인구가 증가했음이 드러났다. 존슨 교수는 “개활지에 있던 거주지를 무시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 모델을 쓰면 홀로세에 살았던 비농경민 인구의 역동성을 보여 줄 수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출제될 만큼 기하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다. 기하에서 주로 묻는 내용은 길이, 넓이, 비율, 각도를 구하는 것이다. 올해는 대수와 결합돼 최솟값을 묻는 문제도 출제됐다. 이번 KMO 1차 시험에서 기하 분야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2008년처럼 문제의 변별력이 높았다는 점이다. 준비 기간이 짧은 ...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보면 1등과 12등의 점수 차는 0.725점이다. 심사위원점수의 실제 반영비율은 심사위원반영비율과 점수편차를 곱하면 알 수 있는데, 0.3×0.0725=0.0225로 2.25%에 불과했다. 시청자 최고 점수와 최저점수의 차이를 감안해도 심사위원 점수가 실제 결과에 거의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대신 ... ...
- 게보린 먹어도 되나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같은 혈액질환과 의식장애 등 부작용이 이미 퇴출된 아미노피린이나 설피린과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아미노피린은 IPA와 구조적으로 매우 비슷한 피린계 약물이다. 아미노피린도 100년 넘게 사용됐지만 1970~1980년대에 발암성, 혈액질환 유발 등의 심각한 부작용으로 전 세계 시장 에서 ... ...
- 상위권은 수시 논술이 당락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시간도 150분에서 120분으로 줄어들었다. 모집정원이 40명 정도 줄어들었고, 논술반영비율도 10% 감소됐다. 수능최저등급이 면제되는 논술우선선발 인원도 지난해 50%에서 올해 40%로 줄어들었다. 기존의 이화글로벌인재전형과 미래과학자전형이 이화글로벌리더전형으로 통합됐다 ...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비의 값과 활공비의 값이 커서 활공 비행에 유리한 거랍니다.새들의 비행에는 날개 비율이 아주 중요해요. 물론 커다랗고 긴 날개를 가질수록 무조건 비행을 잘할것 같지만, 꼭 그런 건 아니에요. 본능적으로 각자 날개길이와 비에 가장 적합한 비행 방법을 깨닫는거죠.저는 갈매기나 독수리보다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