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d라이브러리
"
비교적임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몸 주변에서 느껴지는 20℃ 전후의 기온, 습하지도 건조하지도 않은 30-40%의 습도. 거리를 걸으면 상쾌한 공기가 폐를 가득 채운다. 도심 한가운데를 가르는 하천에선 고기가 뛰놀고 그 옆 호안에서는 생명이 꿈틀거린다. 높은 빌딩 숲에서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녹음, 주택가의 담장과 벽을 휘감는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국과 일본의 바닷길은 열릴까. 1994년 영국과 프랑스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도버 해협 밑바닥을 관통하는 채널터널이 개통되면서 영국이 유럽 대륙에 연결돼 글자 그대로 ‘유로 공동체’가 실현됐다.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동해 밑바닥을 관통하는 해저터널이 개통돼 한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삼성전자는 지난해 9월 세계 최초로 4기가비트 데이터저장(NAND)형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성공했다. 이 메모리 16개를 탑재하면 엄지손가락만한 8기가바이트(바이트=8비트) 메모리카드를 만들 수 있다. MP3 음악파일 2천곡 또는 영화 8시간 분량이 여기에 들어간다. 플래시 메모리카드는 디지털 카메라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최초의 2층 여객기인 에어버스 A380이 내년초 첫 비행을 하고 2006년 본격적으로 취항한다. 에어버스와 협력사들은 이 프로젝트에 1백10억달러(약 13조원) 가까이 투자했는데 벌써 1백29대의 주문을 받아 3백50억달러(약 42조원) 이상의 매출을 확보했다.물 속에 있는 콜로이드상태 또는 가는 입자상태 현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바다와 사막. 서로 어울릴 것 같지 않는 단어다. 그러나 최근 ‘바다의 사막화’ 란 역설적인 표현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우리나라 주변 바다를 황폐화시키고 있는 ‘갯녹음현상’ 을 일컫는 말이다.‘백화(白化)현상’ 이라고도 불리는 갯녹음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바닷속을 들여다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난 3월 27일 음속의 7배를 돌파한 X-43은 수소연료만을 이용했다.연소에 필요한 산소는 대기에서 공급받기 때문. 산소를 싣고 갈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비행기보다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군(置換群)과 수체(數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국제우주정거장 관리업무를 교대할 우주인들이 4월 19일 러시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떠났다. 이들이 탄 우주선은 노후된 소유즈 TM 우주선을 우주인의 인체 특성에 맞춰 개량한 소유즈 TMA. A는 인체계량학(anthropometry)의 첫자를 딴 것이다.세균을 세는 단위로 1ml당 세포 또는 균주가 얼마나 있는지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과학자들이 태양계의 10번째 행성을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이 천체는 명왕성보다도 태양에서 70억km나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이누이트의 바다의 여신을 따라 세드나로 명명된 이 천체는 최근 발사된 고성능 스피처우주망원경의 렌즈에 포착됐다.인공적으로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이나 그 실체를 뜻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한겨울 어느 벌판. 중공군복 차림의 수많은 병사들이 고지를 향해 달린다. ‘하나, 둘, 셋…, 1백, 2백…’ 그 수를 헤아리려던 관객은 제풀에 지친다. 어림잡아 1만명은 족히 넘어 보인다. 엑스트라의 출연료만 해도 1백억원대의 제작비를 거뜬히 넘길 듯한 기세다. 이어지는 수만명의 피난민 행렬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예로부터 선조들은 밥을 단순히 생명유지 수단으로만 여기지 않았다. ‘밥이 보약’이란 말도 여기서 왔을까. 상차림이 부실해도 맛깔스런 밥 한사발이면 족하다란 표현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우리네 입맛이 밥맛 하나에 이토록 민감한 까닭은 어디에 있을까. 손맛이 반찬맛을 좌우한다면 밥맛을 결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