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생각"(으)로 총 3,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머리 좋아지는 기계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머리 좋아지는 기계가 있다고? 기계의 스위치를 켜면 머리에 약한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머리 속으로 들어가 신경세포인 뉴런의 대화를 활성화한다. 이 기계의 이름은 tDCS. 앞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재활을 돕고 울증을 치료하는 데 쓸 예정이다. 대체 이 기계는 무엇일까.[이탈리아의 지오바니 ...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어우~, 더워! 왜 이렇게 더운가 했더니 화산에서 입고 있던 방열복을 아직까지 안 벗고 있었구나? 방열복은 섭씨 수백 도를 오르내리는 화산을 탐사하는 데 필요한 필수품이거든. 휴~, 갈아입으니 시원하구나! 참, 내 소개를 해야지? 안녕? 나는 그 이름도 유명한 화산학자 ‘인디아나 쭌스’라고 한 ...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그래도 하늘을 날아본 경험을 한 뒤로 블루의 태도는 180° 돌변했어요. 드디어 잠재돼있던 날고 싶은 욕망이 꿈틀꿈틀 솟아나는 듯 보였죠. 블루가 질문이 많아졌어요. 주변을 둘러보더니 라파엘의 오랜 친구인 페데로와 니코는 활공 비행은커녕 매 순간 공중에 떠 있기 위해 늘 퍼덕거리고 있다면 ...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78,039,571,092,834,760,116. 일, 십, 백, 천, 만, … 보통 사람들에게는 좀처럼 읽기조차 힘든 큰 수. 무려 스무 자리 숫자인 이 수는 첫 자리가 천 경이다. 그런데 보기만 해도 아득하고, 웬만한 계산기로도 계산하기 벅찬 이 수를 자유롭게 암산할 수 있는 암산의 달인들이 있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새 연구소 소장인 튤리오 박사는 제가 꼭 만나야 할 친구가 있다며 절 새장에 가뒀어요. 누군가 제게‘비행’을 배우러 오나 봐요. 아니, 비행을 가르쳐야 하는데, 왜 가두는 겁니까? 친구는 또 무슨 소용이에요, 당장 드넓은 하늘을 날 수 없는데! 제 관심은 오직 비행, 비행뿐입니다.사람들도 ‘하 ... ...
- 진실 혹은 거짓? 그림 속 도형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원근을 무시한 그림, 이상한 도형을 만들다! 오른쪽 그림은 네덜란드의 화가 에셔의 1961년 판화작품 ‘폭포’ 다. 이 그림을 가만히 살펴보면 이상한 것이 보인다. 바로 물의 흐름이다.보통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자연의 법칙인데, 그림 속의 물은 낮은 곳에서 높은곳으로 올 ...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그녀의 눈물은 아름다웠다. 피겨 여왕 김연아는 13개월 만에 출전한 '2011 세계피겨선수권대회’ 에서 은메달을 땄다. 1위를 차지한 안도 미키와의 점수차이는 고작 1.29점. 점프 하나만 제대로 했어도충분히 역전할 수 있는 점수였다. 피겨스케이팅의 점수는 어떻게 계산하는 걸까? 피겨의 점수체계를 ... ...
- 금혜원 사진전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금 작가는 원래 한국화를 전공했다. 하지만 도시의 빠른 변화 속도에 맞춰 작품 활동을 하기엔 사진이 더 적합한 매체라는 생각에 작업 방식을 바꿨다고 한다. 전시회에는 총 네 개의 연작이 전시되고 있다. 쓰레기 매립지였지만 지금은 공원이 된 난지도의 풍경을 담은 ‘녹색 커튼(Green Curtain)’, ...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는 걸까? 공학적 도구 활용을 연구하는 권오남 서울대 수학교육과 교수와 장경윤 건국대 수학교육과 교수는“전자계산기를 이용하면 계산 자체보다 해석하고 생각하는데 시간을 더 가질 수 있다”며 “다양한 사례를 다루게 해 학생들을 수학적 탐구와 문제해결 ...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우리는 전혀 느끼지 못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의 도움으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그러나 보안성, 이동성, 확장성 등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미래인터넷 연구다.지난 3월 한 고등학생이 EBS 수능강의 사이트를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