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미세 공간 시냅스가 어떻게 기억력을 조절하고 있는지 알아보자.단추와 가시 모양
독특
한 구조신경세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이뤄진다. 유전물질을 보관하며 단백질 생산을 조절하는 세포체, 세포체로부터 나뭇가지처럼 뻗어나와 신경신호를 받아들이는 안테나 역할을 하는 수상돌기,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른 새가 내는 소리를 따라하는 휘파람새도 종별 특성은 유지하는 한에서 개체의
독특
한 소리를 만든다는 설명이다.닥터 두리틀은 처음부터 개의 소리를 알아들었을 뿐만 아니라 개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방법도 알고 있었다. 동물과 대화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먼저 그 동물이 잘 따라할 수 있는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발견된 행성들은 그 숫자가 많았을 뿐 아니라 크기 또한 다른 행성들에 비해 훨씬 작은
독특
한 특징을 갖고 있었다. 또 대부분이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이들 행성 무리들을 소행성이라고 부르게 됐다. 황도를 떠다니는 소행성 무리지금도 소행성들은 계속 발견되고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 예를 들어 대칭과 균형성 등을 미술작품이 갖고 있을 때 우리는 아름다움을 느낀다.
독특
한 개성을 가진 이성을 좋아하듯 뇌를 긴장하고 각성하게 만드는 그림에 대해서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다.뇌의 신비로움을 이해하면 실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고객과 계약을 맺으려 하거나 누군가를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전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온채널의 유전자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쓴맛은 다소
독특
한 미각이다. 다른 맛들이 섭취하는 음식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라면 쓴맛은 먹어서는 안되는 것을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세상에는 먹었을 때 탈을 일으키거나 심지어 목숨을 잃게 하는 것들이 널려있다.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들의 연구 주제다. 2003년 남 교수 연구팀은 삼성전자, 중국 칭화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독특
한 국제산학프로젝트를 수행했다. 공동연구팀은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기존 전자제품의 불편한 점과 있었으면 하는 점을 조사해 분석했다. 또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이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스포츠 의류에서도 여러 섬유를 덧대거나 이음선을 없애는 등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독특
한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다. 몸의 각 부분을 고정시켜 몸매를 고르게 유지하면서도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다기능 옷은 인체공학기술과 패션 디자인이 잘 결합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정보통신 기술을 옷에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문제에서 상황과 논리적 사고를 통해 답을 꺼내는 것입니다. 이것이 수학퍼즐만의
독특
함이자 즐거움이죠.”‘박부성표’ 수학퍼즐은 이를 최대한 살리려고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1999년에는 수학퍼즐을 만들다가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해 외국 학술지에 발표했다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디자인 혁신을 통해 없애버릴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진 일입니까.”영국에서도 그만의 ‘
독특
한 시각’은 인정받고 있는 이 부사장의 다음 작품이 기대된다.한병혁 모토디자인 이사“디자인은 부가가치를 만드는 치밀한 전략”토종 디자인이 국내외에 알려지기 시작한지는 불과 10년. 1990년대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구가 상당히 진척됐기 때문이다.1943년 미국 존스홉킨스아동정신병원 레오 캐너 박사가
독특
한 특징을 보이는 11명의 어린이 환자의 사례를 보고한 논문에서 ‘자폐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래 의사들은 그 원인을 마음에서 찾아왔다. 즉 감당하기 어려운 정신적 충격이나 부모의 학대,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