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생물학 공중도서관’에 발표했다. ‘레아’라는 이름의 암컷 고릴라는 막대기로 물
깊이
를 재 물웅덩이를 건너갔다. ‘에피’라는 암컷 고릴라는 나무막대기를 질퍽거리는 땅을 건너는 다리로 이용했다. 내가 조사한 결과 킹콩 역시 몰래 숨겨놓은 쇳조각으로 수갑에 흠을 내놓았다는 사실이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NREM)으로 나뉘어져 있어요. 비렘수면은 다시 4단계로 나누어지는데 단계가 높을수록 잠이
깊이
든 상태랍니다. 잠이 들기 시작하면 4단계의 비렘수면을 거쳐 렘수면 단계로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는 하룻밤 동안 렘수면과 비렘수면의 단계를 4~5차례 거치게 됩니다.뇌는 깨어 있다?!과거에 사람들은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필요했어요. 1936년 미국의 지질학자 리히터 박사는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을 진원의
깊이
나 진앙까지의 거리를 생각하여 숫자로 표시했는데, 이것이 바로 리히터 규모예요. 그러나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것은 진도라는 단위입니다. 진도란 어떤 지역에 나타난 진동의 세기를 말하는데 사람의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않는 부분이 어마어마하게 클 때 쓰는 표현이다.물고기의 부레대부분의 물고기는 일정한
깊이
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몸에 작용하는 압력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먹이를 구하기 위해 수면 가까이로 헤엄쳐야 하는 물고기는 몸에 작용하는 압력의 변화를 견뎌 내야 한다. 물고기는 잠수함과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문화재입니다. 석굴암은
깊이
14.8m, 높이 9.3m로 인도나 중국의 석굴 사원에 비해 규모는 작습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의 사원들처럼 자연 암벽을 직접 뚫지 않고 크고 작은 화강암을 쌓아 만든 독창적인 건축법은 세계의 자랑거리입니다. ... ...
땅만파아의 지구 속 대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다음 갑자기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다. 바로 화산이었다.“이번엔 화산이다! 화산은 땅 속
깊이
에 있는 마그마와 가스가 지각의 약한 부분을 뚫고 나오는 것을 말하지. 자, 그럼 마그마를 타고 밖으로 나가 볼까? 여기 마그마를 타고 밖으로 나갈 수 있는 탐사선이 있다. 어떤 것을 타야 밖으로 나갈 수 ... ...
Sea, Waves, Continental Shelf, Creature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꺾여 깊어지는 곳이 있는데 그 곳을 ‘대륙사면’이라고 부른다. ‘대륙사면’을 지나면
깊이
가 2500∼6000m인 경사가 완만한 넓은 해저가 나타난다. 그 곳을 ‘대양저’라고 하며 마치 커다란 냄비의 바닥과 같은 곳이다. 이 ‘대양저’에는 육지와 마찬가지로 평원과 산과 산맥이 있다. ‘해저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mm
깊이
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 헤드, 또는 다이얼게이지를 갖춘 마이크로미터
깊이
게이지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봄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국에서는 28수(宿)의 마지막 수인 진(軫)으로 불렸다처녀자리 · 바다뱀자리 · 컵자리 등에 둘러싸인 5개의 별이 이루는 비교적 작은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복수전공이다. 그는 고등학교 때 인문계였기 때문에 수학이나 물리를 자연계 학생들보다
깊이
배우지 않아 대학에서 관련 기초 과목을 듣는 수고도 감수해야 했다.오 씨는 “경제나 경영 등 인문학에서 돈이 된다는 전공을 공부해봤지만 피부에 와 닿지 않았고 물리학을 공부해보니 적성에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졸업논문을 쓰고 있다. “원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고 자유 시간이 많아 좋아하는 공부를
깊이
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 학교의 장점”이라며 “앞으로 화학과에 진학해 제약 분야에서 일하는 것이 꿈”이라고 밝혔다.역시 KAIST에 합격한 3학년 이찬형(18)군은 “수능 시험을 안 쳐서 좋다”고 말한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