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몬스터를 잡아라!] 지워서 없애버리자~ 0·뺄셈 몬스터의 변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
- [수학뉴스] 얼음 모양이 수온 따라 달라져요!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기둥의 표면에 물결무늬를 남겼습니다. 연구를 이끈 레이프 리스트로프 뉴욕대 수학과 교수는 “이번 실험은 빙산 같은 자연 속 얼음의 녹은 모양이 기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미국 물리학회 학술지인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무엇이었을까요? Q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고등과학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셨어요. 보통 교수가 되기 위한 행보인데, 어떤 계기로 삼성전자에 들어가시게 된 건가요? 현실 문제와 가까운 연구를 해 보고 싶었어요. 삼성전자에서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기계학습인 ‘딥러닝’을 연구했지요. 사람의 ... ...
- [인터뷰] “코로나19는 결국 풍토병이 될 확률이 높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전인 2020년 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일찍이 엔데믹을 예견했습니다. 전 세계가 방역 정책을 완화하며 엔데믹으로의 전환을 꾀하는 지금, 다시 그의 입장을 들어봤습니다. Q. 코로나19는 엔데믹을 맞이할 수 있을까요?엔데믹(풍토병)은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줄에 묶어 설치했다. 이렇게 설치된 전자 광학 모듈의 개수만 총 5160개에 달한다. 로트 교수는 연구팀의 일원으로 남극 빙하에 구멍을 뚫고, 전자 광학 모듈을 설치하는 작업부터 직접 참여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적인 우주의 구성요소에 빈칸이 있습니다. 이 빈자리를 채울 수 있도록, 우리 ... ...
- [이달의 책] 다이얼로그 물리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바뀔 수 있음을 말한다. 이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저자인 이공주복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수학을 덜어내고, 논리 전개 과정을 쉽게 풀었다. 그 덕에 물리학 초심자들은 ‘내용을 알아들었다고 착각’하는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정말로 물리학을 습득하려면 ... ...
- [기획] 다리가 다글다글! 다지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아이코, 깜짝이야! 놀랐니? 지네부터 노래기까지, 우리는 다리 많기로 이름난 다지류! 왜 이렇게 징그럽게 생겼냐고, 곤충 아니냐고 오해를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우리는 4억 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동물이라고. 우리에 대해 알면 알수록 다지류가 색다르게 보일걸?지금부터 꼬물꼬물 ... ...
- [기획] 다지류 보면 볼수록 귀여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거리가 무궁무진할 거예요! ●인터뷰폴 마렉(미국 버지니아공학대학교 곤충학부 교수)“노래기는 상냥한 채식주의자랍니다.” Q미국에 있는 유일한 노래기 연구실을 이끄신다고요? 맞아요. 이곳에서 노래기의 분류계통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노래기가 어떻게 진화했고 서로 ...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시민과학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같은 연구소의 김동광 교수도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과학에 시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과학을 깊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죠. 현대의 시민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 ...
- [그래프 뉴스]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도 마스크 쓰면 감염 확률 ‘뚝’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최대 30%의 감염률을 보였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마코토 츠보쿠라 고베대학교 교수는 언론 인터뷰에서 “기본으로 돌아가 다른 사람과 되도록 거리를 두고, 일상에서 마스크를 꼭 써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아쉽지만, 친구와 마음은 가까워도 거리는 멀리해야 하는 이유예요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