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d라이브러리
"
관찰
"(으)로 총 5,048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있는 이야기일까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해요. 지구 내부를 직접
관찰
하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지진이 발생하는 경로나 지구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해 내부 구조를 과학적으로 확인했거든요. 하지만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지구공동설을 믿고 있답니다. 지구 속에 매머드나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선수는 키네틱 체인의 균형이 무너져 출발할 때 주행 경로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관찰
됐다. 한쪽 다리는 키네틱 체인이 조화를 이룬 반면 다른 쪽은 그렇지 않아 빙판에 전달되는 힘의 차이가 생겼고 결과적으로 주행 방향이 틀어진 것이다. 키네틱 체인이 제대로 형성돼야 힘의 손실을 최소로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3. 분석 시료의 약 15%는 혈액이다. 각 선수의 적혈구, 헤모글로빈 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
하면 도핑 여부를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메달리스트 전원 도핑 테스트“평창 동계올림픽은 보안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선수들에게서 채취한 시료가 어떤 사람에게 언제 어디서 전달됐는지까지 모두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1922년 브래그는 우리가 병원에서 몸속을 검사할 때 쓰는 엑스선을 활용해 미시세계를
관찰
하는 ‘엑스선 회절법’으로 얼음의 육각형 구조를 밝혀냈다. 분자★ 여러 개의 원자로 구성된 물질의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입자다. 눈결정 연구의 대가인 케네스 리브레히트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것이 가장 먼저예요. 그다음으로는 개가 공격하기 전에 보이는 ‘경고 행동’을 잘
관찰
하는 것도 중요하지요. 개는 크게 두 가지의 경고 행동을 보여요. ‘방어적 경고’는 개가 무서움을 느낄 때 하는 자세예요. 더 이상 다가오지 말라는 표현이기도 하지요. 목덜미와 꼬리 쪽의 털을 꼿꼿이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연구소 등에게 유상으로 대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7년에는 단백질과 생체물질을
관찰
하는 실험을 하는 연구팀이 주로 장비를 이용했다. 또 2018년 5월까지 61개 연구팀이 E-XFEL 사용 신청을 마친 상태다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DNA를 조합해 캔버스를 만들었다. 물론 이 작품을 맨눈으로
관찰
할 수는 없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향후 신체 내에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박테리아 크기의 미세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38/nature2465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관계없이 신경성 청각 장애를 가진 동물들의 털에서 공통적으로 흰색 반점이 여러 개
관찰
됐습니다. 말의 경우에는 멜라닌 세포가 선천적인 정지 야맹증과 돌연변이로 흰 털을 가진 새끼가 생후 24시간 내 사망하는 백색치사증후군(Lethal white foal syndrome)과도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Can Vet J. 201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얼마 전 자유계약선수(FA) 신분이었던 야구선수 손아섭이 롯데자이언츠와 4년 총액 98억 원에 계약을 체결하면서 역대 FA 중 연봉 3위를 기록했다. 왼손 타자 ... 류현진 선수가, KBO리그에서는 김광현 선수가 부상을 이겨내고 돌아온다. 좌완투수를
관찰
하는 재미가 한결 풍성해질 것 같다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암의 높은 사망률과 세포 자멸의 상관관계는 오래 전부터
관찰
이 돼왔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이유를 알지 못했습니다. 세포들이 알아서 자멸하는데, 동시에 다른 세포들은 무작위로 증식한다는 게 이상했으니까요. 하지만 앞서 언급한 연구결과를 보면 이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