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보며 필요한 통계 데이터를 공부했어요!”싯 리포터 팀의 리더인 KAIST 전기 및 전자
공학
부 주동규 박사과정 연구원은 팀의 전략에 대해 “최근 보도된 축구 경기 기사를 참고해 어떤 데이터를 추출해 기사를 쓰는지 공부했다”며, “기사 속에 다양한 통계 자료가 담기도록 코딩한 결과, 기사에 ... ...
AI 월드컵, 우승팀 필승 전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평가했어요. ● 딥러닝 기반의 강화학습이 비결! - 김우준 (KAIST 전기 및 전자
공학
부 박사과정) Q 우승 소감이 궁금해요현재 연구실에서 강화학습 기반의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있어요. 게임이나 자율자동차에 적용해 더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지요. 연구한 방법을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찍힌 스트론튬 원자는 실제 원자보다 크기가 더 크게 나왔다고 설명했답니다.영 국 국립
공학
및자연과학연구위원회 (EPSRC)는 이 사진을 ‘2018 과학사진공모전’의 1등 작품으로 선정했어요. 수상 당시 내드링거 연구원은 “이 사진은 눈에 보이지 않는 양자 세계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이어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영화에 쓰이는 특수 효과까지 디즈니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하죠. 디즈니는
공학
자들과 함께 혼자서 묘기를 선보일 수 있는 스턴트 로봇을 개발해왔어요. 올해 5월에는 뒤로 공중제비를 넘을 수 있는 막대 모양의 로봇 ‘스틱맨(Stickman)’을 공개하기도 했지요.이번에 발표된 스턴트로닉스는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로봇
공학
자 제페토는 동화책에 나오는 피노키오를 로봇으로 만들었어요. 동화책의 피노키오처럼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는 인공지능 로봇이지요. 제페토는 로봇 피노키오의 인공지능에‘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진다’는 논리를 입력해 피노키오가 완전히 그 논리를 따르게 했답니다. 그런데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속 광결정 구조 사이의 간격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카멜레온의 색 변화 원리에 착안해, 별도의 염료 없이 스스로 색을 바꾸는 유연한 전고체(고체 전해질)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0월 21일자에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신약 개발이나 질병 연구에 활용된다.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
부 교수는 “세포 간 상호작용을 보려면 세포 하나를 최소 100억 개 이상의 입자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하는데, 타키온 II로는 입자를 1억 개 이상 늘릴 수 없어 세포의 일부를 2차원으로 모사하는 데 그쳤다”고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우리는 밀레니엄 난제를 발표한 클레이 수학연구소를 가려고 미국을 여행지 목록에 넣었어요. 그런데 목적은 따로 있었지요. 사실 우린 야구로 뭉친 크루거든요. 미국하면 또 야구 아니겠습니까! 우리 같은 야구팬들은 미국 여행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하나 있습니다. 미국 30개 야구장에서 경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
공학
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김 학부장은 “
공학
자는 세계를 선도하고 나라를 먹여 살리는 직업이다”며 “한국
공학
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인 만큼 국제적으로 경쟁하며 수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서양의 자명종과 동양의 혼천의를 결합해 만든 조선시대 최첨단 시계다. 서양의 기계
공학
적 장치를 동양의 천체관측기구에 접목했다는 점에서, 외부의 기술을 받아들여 재창조한 우리 민족 특유의 창의성을 엿볼 수 있다. 혼천시계 이전에 개발된 자동 시계인 ‘자격루(自擊漏)’도 내부의 구슬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