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히 따져 보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끼워팔기를 할인율로 바꾸는
공식
을 준비했습니다. 하지만 업체 입장에서는 하나라도 더 팔 수 있는 끼워팔기 방식이 이득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끼워팔기는 정상적인 가격으로 일정기간 판매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뿐 아니라 인지도가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수학은 몸으로 느끼는 거야!수학자들이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만들어 낸 수많은 정리와
공식
을 짧은 수업 시간 동안에 전부 다 익히는 것은 힘든 일이야. 그러다 보니 외우는 데 치우쳐서 수학이 재미 없어지지. 그럴 때 기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직접 체험해 보는 게 좋아. 몸으로 느끼면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소수도 기수법의 원리를 따른다."소수도 자연수처럼 10진법을 사용해야 합니다"이를
공식
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프랑스 수학자 비에트다. 비에트는 1579년에 60진 소수 체계 대신에 10진 소수 체계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변호사이자 정치가면서 심심풀이로 수학도 연구해 대수학, 기하학,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전달하고 저장하는지를 밝혀내는 접근이다.이 교수는 “뇌의 작용에 수학이나 물리학
공식
을 적용해 설명하려는 시도가 늘면서 실제 뇌와는 사뭇 다른, 과학자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뇌를 구현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인공물에 점점 의존해가는 인간의 행동패턴도 제2패러다임인 ... ...
수학의 역사와 함께한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많은 문제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졌지. 문제를 일반적으로 표현하거나
공식
을 세우면 각 사항을 하나하나 쓸 필요 없이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거든.문자나 기호가 없던 시절에는 아무리 훌륭한 수학의 내용도 그 뜻을 전달하기가 어려웠어. 나 같은 문자와 기호가 하나 둘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0시 30분 추가 브리핑에 나선 정부 측은 “페어링 가운데 하나가 분리되지 않았다”고
공식
발표했다. 특히 페어링 분리 이상이 위성이 제 궤도에 안착하지 못한 주요한 원인이라는 설명이 따라붙었다. 발사한 뒤 3분 36초 뒤 반으로 갈라져 필리핀 앞 바다에 떨어져야 할 페어링이 한쪽만 떨어져 ... ...
Why Are Flu Viruses Seasonal?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몇 달 만에 H1N1 바이러스는 전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로 확산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공식
적으로 감염자 수를 집계하는 것을 중단했을 정도다. 아르헨티나처럼 이미 겨울에 들어선 국가에서는 벌써 H1N1이 수십억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 미국에서는 여름임에도 바이러스가 계속 증가했다. 이는 ... ...
χ의 대활약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문자를 사용하면 문제를 일반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일반적이라는 것이 뭐냐고? 하나하나의 사실을 다 표현하지 않고 여러 개의 상황을 ... 알 수 있어. 정말 신나는 일이지.
공식
을 알면 쉽게 해결되는 문제가 너무나 많아. 이렇게
공식
을 써서 일반화할 수 있게 된 건 모두 문자 덕분이야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학자인 저자들은 ‘생각의 도구’라고 강조한다. 수학을 싫어하는 딸을 위해 딱딱한
공식
과 법칙을 말랑말랑한 그림으로 바꾸고, 복잡한 기호나 계산이 아니라 정말 단순한 사실로 수학 명제를 증명해냈다. 딸뿐 아니라 수학을 싫어하던 독자들이 수학과 친해질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면서.우주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보면 종종 집어등을 주렁주렁 매단 오징어배를 만나게 된다. ‘오징어는 동해’라는
공식
에 익숙한 이들은 이게 무슨 일인가 고개를 갸웃거리겠지만 서해안에서 오징어가 잡히기 시작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서해안의 오징어는 10여 년 전만 해도 전체 어획량 중 10위 안에도 들지 못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