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볼
공로
공적
무
구
뽈
성공
d라이브러리
"
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놀이
공
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때문 이다. 만약 중력이 없어지면 지구 위 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둥둥 떠다닐 것이다.
공
중에는 먼지가 자욱하고, 빗방울 을 끌어당기는 힘이 없어 비가 내 리지도 않을 것이다. 흙이나 물이 땅 에 붙어있을 수도 없다. 결국 중력이 없다면 지구에 생물이 살 수 없다. 살아있는 실험실 나도 전기를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다.2015년이 되면 암세포 자체를
공
격하는 동시에 암세포 성장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
급하는 새로운 혈관의 생성을 막는 ‘다표적치료제’가 화학요법의 중심에 설 전망이다.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암세포만 죽이는 표적치료제를 개발해 털모자를 쓴 암환자의 모습이 하루빨리 추억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텍사스 A&M대 박사 / 1969
공
군사관학교 교수 / 1982 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1984 한국전기통신
공
사 부사장 / 1990 과학기술처 차관 / 199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 1998 SK텔레콤 부회장 / 1999 초당대학교 총장 / 1999 과학기술부 장관 / 2004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 이사장 / 2004 전자무역추 ...
6세부터 106세까지 꿈의 장난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올라간 뒤 크기에 따라 나뉘어 박스에 정리된다. 덤프트럭을 후진시켜 박스를 누르면
공
이 덤프트럭의 적재함으로 쏟아진다.로켄복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언제나 새로운 즐거움을 준다는 점이다. 모노레일, 리프트, 재활용센터 및 다양한 운송장비 추가세트가 있고 서로 연결해 확장할 수 있다.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돌돌 말면 죽부인과 똑같은 구조가 생긴다. 이때 흑연을 돌돌 말고 양쪽 끝에 분자 축구
공
인 풀러렌을 반으로 잘라 양쪽에 붙이면 탄소만으로 이뤄진‘분자 죽부인’이 완성된다.흑연 여러 장을 한꺼번에 말면 죽부인이 여러 개 겹쳐있는 탄소나노튜브를 만들 수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어떻게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멋져! 마술이 과학적인 원리와 기술, 그리고 마술사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훌륭한
공
연이라는 걸 알게 됐잖아. 그리고 크리스마스 마술까지 배운‘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라면 이번 크리스마스에 우울해 할 시간은 없을 거야. 당연히 없어, 없다구!자, 그럼 이만 난 물러갈게. 나 요즘 무척 ... ...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그래도 가장 많은 곳은 구상성단이에요. 구상성단은 수만에서 수백만 개의 별들이
공
모양으로 모인 곳이에요. 100억 년 이상 된 나이든 별이 모여 있지요. 우리 은하계에서는 지금까지 구상성단이 130여개 발견됐어요. 이 곳의 별을 트리에 흩뿌리면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리가 되겠죠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오지에서도 휴대전화등의 단말기만 있으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물이나
공
기처럼 시
공
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존재할 수 있다라는 뜻의 라틴어다. 2011년의 초등학생 동우의 하루 잘 봤나요? 꿈만 같은 이야기라구요? 아니에요. 이보다 훨씬 더 놀라운 일들이 펼쳐질지 모릅니다. 모바일의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모든 마을 사람들이 유적지 바닥에 그려진 소용돌이 모양에 맞춰 줄을 섰다. 거대한
공
터가 마을 사람으로 가득하게 채워졌다. 기대감과 흥분으로 나도 모르게 온몸이 덜덜 떨렸다.마을 대표가 돔에 얼음결정열쇠를 꽂았다. 유적지 바닥이 갈라지며 소용돌이 모양을 따라 마이크가 솟아 올랐다.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무게가 없기 때문에 기체가 가열된다고 해서 위로 올라가지 않아요. 그래서 둥근
공
모양의 불꽃이 생긴답니다. 이‘우주 불’을 연구하는 임무도 제안되었어요. 3 우주여행도 식후경이라고 우주에서도 역시 먹는 것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우주에서 김치찌개를 끓여 먹을 수는 없을 터. 그럼 꼭 바싹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