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범위를 주목하자.5시 전후5시가 되면, 사자자리는 완전히 동쪽 하늘 높이 올라와 복사점
고도
도 70도나 된다. 예상보다 앞서 이 시각에 극대가 된다면 가장 멋진 광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각에는 유성이 사방으로 흩어진다. 지난해의 경우는 큰개자리의 동남쪽 방향과 북두칠성 아래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비슷한 구조를 가진 분자 수만 종류를 합성하고, 그 약효와 부작용을 확인해본다.
고도
로 발전된 유기합성 기술을 이용하면 대부분의 분자를 합성할 수 있지만, 의약품의 개발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해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동시에 여러 가지 분자를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 있다. 이에 앞서 25일에는 수성도 저녁 서쪽하늘에서 동방최대이각이 되지만 일몰 때
고도
가 9도에 불과해 어두워지기 전에 가라앉아 전혀 볼 수 없다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다시 가는 일도 거의 없다. 한편 라식 수술은 엑시머 수술이 불가능한 -6.00디옵터 이상의
고도
근시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이렇게 보면 라식 수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시력교정 수술법인 셈이다.엑시머레이저란?엑시머레이저는 아르곤 플로라이드의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늘어난 탓에 안경을 끼는 학생이 1백명중 20명이 넘고, 과다섭취와 운동부족에 따른
고도
비만 학생(표준 체중의 1백50%를 넘는 학생)이 1천명 당 87명 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상황이라면 체격이 향상되고 있는 추세를 마냥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렵다.2020년에 이르르면 겉으로는 멀쩡한데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부르는데, 겉보기 등급이 1.74등급으로 온 하늘에서 30번째 밝은 별이다. 서울에서의 남중
고도
는 5.5도. 밝기는 태양의 70배, 지구에서 65광년 떨어져 있다. 베타(β)별은 2.2등성의 적색거성으로 태양의 약 8백배 광도를 내지만 알파별보다 더 먼 1백40광년 떨어져 어둡게 보인다.2. 물병자리 Aquarius● 황도 1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자외선에 피부가 못 견딘다는 점이다. 온도는 1천m 당 6℃씩 감소하지만 태양복사는
고도
에 따라 증가한다. 대기오염과 구름이 줄어들고 더 많은 자외선복사가 대기를 뚫는다. 고산에서의 눈도 태양복사를 증가시키는 요인, 자외선이 눈에 반사되기 때문이다. 특히 자외선-B(파장 2백90-3백20mm)가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요즘 국내에서 공룡알화석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공룡알이 무슨 대단한 발견이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지가 않다. 공룡알은 공 ... 둥지를 만드는 것은 타고난 본능이지만 다른 공룡들과 함께 복잡한 집단둥지를 만드는 능력은
고도
의 의사전달 기술이 있어야 가능하다 ... ...
투우사의 빨간 망토는 속임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있는 주인을 보고 꼬리를 흔든다면 그것은 체취를 느끼고 하는 것이다. 경찰견과 같이
고도
의 훈련을 받은 개들은 움직이는 표적은 8백50m 안에 들어와야 알아볼 수 있다. 이처럼 개의 눈은 직선 거리상의 보는 능력이 다소 떨어지지만 시야는 광각렌즈처럼 대단히 넓다. 사람은 약 1백80도의 시야를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더위이다. 직장의 휴가철이요, 학교의 방학 기간이니 그야말로 한창 더운 때다. 태양의
고도
로만 따지면 하지 때 가장 강한 태양빛이 내리 쬔다. 하지만 지구가 데워지는데 시간이 걸리고 대기가 움직이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때는 삼복 때가 되는 것이다.복(伏)자가 사람 인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