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감지해 컴퓨터로 전송하고, 컴퓨터는 곧 물 입자가 떨어지는 속력과 방향을 다시 계산해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낸다. 관람객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따라, 관람객이 몇 명인지에 따라 작품은 시시각각 달라진다. 작품이 설치된 일본 도쿄의 디지털아트뮤지엄에는 총 520대의 컴퓨터와 470개의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의 배열인 ‘직교라틴방진’을 먼저 찾는 겁니다. 어떤 경우 직교라틴방진에서 간단한 계산만 하면 마방진을 만들 수 있거든요. 라틴방진은 칸이 n²개인 표에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각 행과 열에 같은 숫자가 들어가지 않게 배열한 거예요. 직교라틴방진은 칸 수가 같은 라틴방진 2개를 하나로 ... ...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느낀다는 설정이다. 박사의 말을 듣고 매일 밤 220과 284 이외의 우애수를 찾기 위해 계산을 했다는 쿄코에게 박사는 “그 다음으로 작은 우애수는 1184와 1210이야”라고 말한다. 이제 오일러 프로젝트의 21번 문제로 돌아가 보자. 벌써 세 쌍의 우애수들을 스포일러로 소개했다. 1만 이하의 다른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너지를 태양이 1년 동안 방출하는 에너지로 나누면 태양의 수명을 구할 수 있다. 계산해보면 태양의 수명은 약 100억 년이다. 다만, 태양은 50억 년 전부터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해 온 만큼 앞으로 약 50억 년간은 계속 에너지를 생산할 것이다. 영원하지는 않지만, 꽤 오랜 시간 동안은 ...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때 전통적인 통계에서는 이전 값에 상관없이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을 각각 2분의 1로 계산한다. 여기에 동전이 비뚤어지지 않았다는 전제 등 실험 환경도 완벽하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동전을 20번 던졌을 때 앞면이 19번 나오고 뒷면이 1번 나왔다면, 21번째 던지는 동전은 앞면이 나올 확률이 높은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 연구 시간의 단축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가령 타키온 II로 2개월 이상 걸렸던 계산을 누리온이 수행하면 단 하루 만에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어떤 점이 이런 차이를 만들까. 우선 타키온 II는 중앙처리장치(CPU) 프로세서로만 이뤄진 반면, 누리온은 하나의 노드에 68개 코어가 집적돼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길이가 12만AU(1AU는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로 약 1억4960만km)에 이른다는 사실도 계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라스 아크 나이만 ALMA 천문대 연구원은 “중심에 있는 적색거성은 점점 작아지고 더 뜨거워져서 주위의 성운을 데우고 더 밝게 만드는 행성상 성운으로 진화한다”며 “부메랑 성운의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예를 들면 최대공약수를 배울 때 개념을 익힌 뒤 그 개념을 코드로 구현해서 직접 계산하기 어려운 큰 수의 최대공약수를 코딩으로 빠르게 확인하는 식이다. 박왕근 교장은 “학생들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를 코딩을 통해 빠르고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얼마나 지속되는지, 빛이 얼마만큼 감소하는지 관측해 행성의 크기와 궤도, 주기 등을 계산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대한 구상은 1980년대 처음 나왔다. 당시 NASA 에임스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보루키 박사는 10월 30일 진행된 긴급 전화회의(텔레콘퍼런스)에서 “케플러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가장 최적인 답을 몰라도 비교적 빠른 시간에 최적의 답에 어느 정도 가까운 근사 해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지금까지 찾은 근사 알고리듬 중에 가장 답에 근접한 해를 구해 주는 건 니코스 크리스토피데스가 1976년에 개발한 ‘크리스토피데스 알고리듬’이에요. 2011년 미국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