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식구
패밀리
친척
훼밀리
일가
식솔
d라이브러리
"
가족
"(으)로 총 2,0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핑그르~! 빈혈이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배기구 이음새가 벌어지면서 집 밖으로 배출돼야 할 일산화탄소가 방 안으로 스며들어
가족
세 명이 질식사한 사건도 있다구!”이 이야기를 듣고 나니 발그레 양은 이젠 추워서가 아니라 일산화탄소가 무서워 몸이 부르르 떨린다. 그런데 도대체 왜 일산화탄소가 사람을 죽게 만드는 걸까?“산소보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같은 방식으로 고통을 주는 장면을 보게 했을 때도 이 뉴런이 발화함을 관찰했다.
가족
이나 친구가 아파하는 장면을 보면서 “가슴이 아프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실제로도 고통을 느낀다는 얘기다.이처럼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은 남성보다 여성이 뛰어나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와 있다. 여성은 ... ...
행복의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낚시, 테니스-감정을 글로 쓰거나 편지 쓰기2. 우정은 행복의 가장 친한 벗이다-친구와
가족
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라(친구가 없다면 반려 동물을 키운다)-사람들은 일생 평균 30명의 친구를 만든다-남녀 공히 여자친구를 만들어야 감정만족에더 도움이 된다-남을 용서하는 것은 자신을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줄 알았는데 부모님께서 손가락 지문을 기계에 찍고 있어. 얼굴 사진도 찍고. 우리
가족
을 범죄자로 보는 거야? 도대체 왜 지문과 사진을 찍으라는 거지?어린이 뉴스바이오인식, 인천국제공항도 사용해요현재 미국과 일본이 테러 방지를 목적으로 외국인이 입국할 때 지문을 스캔하고 얼굴 사진을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흔한 것으로 착각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고 진단했다. 해결책은
가족
, 친구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TV시청을 줄이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당신도 행복 디자이너 행복의 과학 행복의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줄거리미국의 한 시골마을. 영화 포스터를 그리는 화가인 데이비드(토마스 제인 분)는
가족
과 함께 단란한 한때를 보내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태풍이 마을을 덮치고 많은 건물이 파손된다. 데이비드는 부서진 집을 수리하기 위해 읍내의 슈퍼마켓을 찾는다. 이때 짙은 안개가 몰려오고, 갑자기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감동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어깨동무를 한 채 노래를 따라 부르던 관객들 사이로 열심히
가족
의 얼굴을 찾던 기억도 난다. 아빠가 무대에 선 모습을 처음 보는 아이들에게 “봤지? 아직도 내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라고 외치고 싶었다.그동안 ‘작곡가 조진원’이라는 타이틀이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 등장하며 방송이나 설문, 투표, 기업마케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환자의
가족
이나 가까운 친척의 의학적 내력 이들의 건강상태를 살펴 질병과 유전병 여부를 밝히고 사망원인을 조사해 환자의 치료에 이용한다염색체 위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돼있는 유전자가 감수분열 때 교차를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크낙새 둥지를 발견했다. 1979년 5월에는 고사한 소나무의 나무구멍에 둥지를 튼 크낙새
가족
을 약 40일 동안 조사했다. 그 결과 크낙새가 흰색 알 서너 개를 낳아 2주일간 품으며 특이하게도 수컷이 알을 품는 시간이 다른 새보다 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새끼가 태어나면 소나무좀이나 딱정벌레의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30년이 흐른 2007년 12월 14일, 아기 맘모스 ‘디마’는 6마리의 ‘세브스크 맘모스’
가족
과 티라노사우루스의 아시아계 조상인 ‘타르보사우루스’와 함께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의 이름으로 한국을 찾았다. 디마를 소장하고 있는 러시아 동물학박물관 관장 푸가초프 알렉 박사는 “디마를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