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기업들은 여전히 실리콘 반도체 공정을 고수한다. 기업이 받아안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나노물질 개발 연구는 지속돼야 한다는 게 이 단장의 생각이다.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 반드시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는 시기가 올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오래 ... ...
우주여행, 3D 프린터에 맡겨라
KISTI
l
2013.07.17
정보에 따라 발바닥부터 머리까지 얇은 층을 한 층씩 쌓아 올린다. 물건에 따라 위치와
크기
를 조절하면서 조금씩 층을 쌓으며 인쇄한다. •달의 흙과 돌로 달 기지 건설 미국 워싱턴대학교 연구팀은 달에서 얻은 재료로 부품을 인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2012년 11월 ‘쾌속조형저널(Rapid Prototyping ... ...
제올라이트 합성과정에서의 결정변형 원인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7.12
것에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제올라이트의 폭넓은 응용을 위해 결정내 나노기공의
크기
와 배열을 측정하고 결정의 변형부위와 원인을 밝히는 것이 관건이었다. 연구팀은 결맞는 X-선 회절법을 이용해 제올라이트 결정의 모양을 얻는 동시에 결정 내부의 격자변형 정도를 0.01 nm 해상도로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태양전지 모듈은 뱅가드 1호에게도 행운이었다. 자칫 스푸트니크와 익스플로러보다 늦고
크기
도 한참 작은 주제에 할 줄 아는 것이라고는 ‘빕...빕...’ 신호 보내는 것이 전부일 뻔했던 위성이 과학계에 한 획을 그은 주인공이 된 것이다. 뱅가드 1호의 태양전지는 당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거대한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
KOITA
l
2013.07.10
‘기술’이 있었다. 19세기의 군인들은 몸에 지닐 수 있게 하느라 정확성을 희생해서
크기
를 줄인 기계에 대한 신뢰가 없었다. 아무리 입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본질이 기계인 이상 기계로서의 신뢰성이 중요한데 당시 기술 수준으로서는 그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현재 ... ...
[채널A] 1억년 된 공룡화석, 3D프린터로 부활…한국 ‘세계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13.07.06
몽골에서 발굴된 안킬로사우루스의 머리뼈 화석입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절반
크기
로 복제했습니다. 눈과 코, 돌기까지 실제 화석과 똑같습니다. 화석을 3차원으로 스캔한 뒤 보정 작업을 거쳐 3D 프린터로 찍어내면 몇 시간 만에 뼈 하나가 완성됩니다. 원본과의 오차는 불과 0.02밀리미터. 공룡 ...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내로 백신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항원전달용 나노마이셀을 만들었다. 직경 20nm
크기
의 나노마이셀은 점막 투과성과 부착력이 뛰어나 비강에 분무하는 방식으로도 점막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실제 생쥐에 바이러스 항원만 주입한 경우 6시간 내에 사라졌지만, 나노마이셀과 함께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
동아사이언스
l
2013.06.28
없는 상태에서 응용을 시도하다 보면 소재의 성능이 뒤쳐져 중간에 실패할 확률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어떻습니까. 응용 분야를 거론하지 않고 기초 소재만 개발하겠다고 나서면 연구비를 지원받기 어렵습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가 더 커 보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그는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즉 22번 염색체의 말단이 그보다
크기
가 작은 9번 염색체 말단과 바꿔치기 되면서
크기
가 작아진 것이다. 그 결과 9번 염색체는 약간 더 커졌지만 그 자체가 워낙 커서 노웰 교수팀은 알아차리지 못한 것. 이렇게 다른 염색체 사이에 교환이 일어나는 현상을 ‘전좌(translocation)’라고 부른다.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
2013.06.25
동기화, 인터넷 등으로 인한 빠른 확산 그리고 각 가치 사슬 간의 연결성 증가는 위험의
크기
를 가늠하기 힘들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위해 5R 차원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