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보통 동물에서 눈알의 크기는 몸의 길이에 비례하는 게 아니라 그 제곱근에 비례한다. 즉
작은
동물일수록 상대적으로 눈이 커 보인다. 그런데 두 눈의 간격(몸의 길이)에 비해 눈의 크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건 소형 동물일수록 심도가 얕아져 양안시의 입체영상 해상도가 떨어짐을 의미한다. ...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
2015.08.18
이동하는데, 함께 여행하면서 먹을 것을 구하고 서로를 보호해준다. 각 코끼리는 더
작은
무리로 나눠지거나 혼자 무리에서 떨어지더라도 서로 지나간 경로를 파악하면서 따라가야 한다. 이 때 후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케냐 암보셀리 국립공원의 땅바닥에서 코끼리 소변 ... ...
합리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8.18
에너지 절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 에너지를 절약하며 발생하는 지금의
작은
불편이 미래의 후손들에게 깨끗한 지구를 물려주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건 초파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과일껍질을 한참 두면 꼬이는
작은
파리가 바로 초파리다. 과일 표면에 사는 효모가 당분을 발효시키면서 향기성분을 내 초파리가 과일 냄새를 더 잘 맡고 찾아오기 쉽게 한다는 것. 효모는 발효과정에서 과일과 꽃향기를 내는 성분들도 ... ...
[COOKING의 과학] 국민 음식 닭고기로 여름나기
KISTI
l
2015.08.04
또한 비싼 생선이 돼 먹기에 부담스럽게 됐다. 삼계탕은 한 사람이 혼자 먹기에 알맞은,
작은
크기의 어린 닭의 배를 갈라 내장을 빼내고, 그 안에 불린 찹쌀과 인삼, 대추, 마늘 등을 넣는다. 안에 넣은 재료들이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실로 묶고 물에 넣어 서서히 끓인다. 삼계탕 맛의 비결은 ... ...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31
“지진은 분명히 물 주입(injection)과 관련 있다”고 확신했다. 미국 오하이오주의
작은
도시 영스타운은 심지어 ‘셰일가스 지진’의 대명사가 됐다. 원래 지진이 거의 없던 지역이었는데, 셰일가스 시추가 시작되고 폭발적으로 늘었다. 미국 컬럼비아대 라몬트-도허티지구연구소 김원영 교수는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낯선 입자는 기묘도가 -1 또는 -2다. 펜타쿼크 모형. 중입자(커다란 공) 내부에 쿼크(
작은
공) 다섯 개가 들어 있고 각각은 글루온(흰색 선)으로 묶여있다. - CERN 제공 1961년 겔만이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유발 네만과 함께 제안한 팔중도(eightfold way)는 다양한 중입자와 중간자가 전하와 기묘도를 각각 ... ...
세계인이 사랑한 커피의 모든 것
KISTI
l
2015.07.07
바로 자연 속에 숨어 있다. 인도네시아에 서식하는 긴꼬리 사향고양이는 곤충이나
작은
동물, 열매 등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잡식성 동물이다. 그런데 잘 익은 커피 열매도 매우 좋아한다. 사향고양이가 먹은 커피 열매는 위와 장을 거치면서 과육과 과피는 소화되고 커피 씨 부분만 남아 ... ...
버려지는 에너지를 모으는 에너지 하베스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7.07
장착하여 버려지는 열을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처럼 비교적
작은
시스템에는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하려면 좀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단위 모듈화를 통해 크기를 바꾸기 쉬운 폐열회수 시스템이 필요하다. 여기에 가장 적합한 에너지 변환 물리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죽은 양과 소의 혈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혈구 주위에
작은
막대기와 이것이 이어진 것으로 보이는 실처럼 생긴 물체가 보였기 때문이다. 1870년대 독일 볼슈타인의 개업의인 로베르트 코흐는 세균이 가축에서 탄저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입증해 현대의학의 지평을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