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뉴스
"
최근
"(으)로 총 15,81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리튬 광상 첫 종합 조사…"개발은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다 마친 상태다. 이번 조사 대상으로 선정한 12곳 중에서 10곳 정도가 AI 예측과 일치했다.
최근
AI를 통해 가능성을 찾은 또 다른 35개 광상에 대해 추가 조사를 시작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AI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할 예정이다. 만약 새로운 광상에서 가능성이 확인되면 지질연에서 투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물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놀랍다. 수년 전부터 시내버스가 하나둘 전기차로 바뀌더니
최근
에는 마을버스도 전기차가 보인다. 필자가 어릴 때는 검은 매연을 내뿜고 다니던 버스가 많았는데 머지않아 디젤엔진 버스가 사라지고 그만큼 공기는 더 깨끗해질 것이다. 리튬배터리가 상용화된 지 30년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노로바이러스가 잘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검출되는 이유에 대해 하 단장은 "
최근
김치회사에서 김치의 염도를 낮추는 제조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겉절이 상태에서 김치가 유통되며 충분히 발효가 안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고염'과 '발효'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말이다. 지난해 ... ...
2배 빠르게 자가치유되는 고성능 가시광선 반응 3D 프린팅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의료기기, 소프트 로봇 등 미래 전자 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학계에선 자가치유, 분해 성능 등 여러 기능을 가진 3D 프린팅 소재 개발이 추진 중이다. 특히 빛에 반응하는 스마트 소재는 소프트 로봇이나 맞춤형 의료기기, 가변형 전자기기 등 많은 미래 소재의 핵심 ... ...
유전자변형 돼지 신장 이식받은 두번째 환자 47일만에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유전자 변형 돼지 신장을 이식받았지만 수술 두 달 만에 세상을 떠났다. 전문가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이종 이식 수술 분야의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만 현재 이종 이식술 허가가 인간 장기를 이식받을 수 없을 만큼 건강상태가 악화된 환자들에게만 내려지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 ...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완성품의 결함으로 장비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해진 것도 지연의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부품 결함과 관련해 '부품 제조를 맡은 한국 측이 납품한 시점에서 설계와 오차가 있었다'라며 한국 기업의 책임론을 부각시킨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ITER 국제기구가 ... ...
실제 뇌종양과 비슷…'뇌수막종 오가노이드'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후속 연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캔서 셀 인터내셔널’
최근
호에 게재됐다. (왼쪽부터) 안스데반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정연준 가톨릭대 의대 정밀의학연구센터 교수, 김도경 연구교원, 박준성 암진화연구센터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 ...
0.07%의 세포 돌연변이만으로 뇌전증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발생하는 것이다. 암의 진화뿐만 아니라 비암성 질환에서도 중요한 질병 원인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8000~9000개 수준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나타날 때부터 실험용 쥐가 뇌전증 발작을 일으켰다. 이밖에 관련된 병리가 나타남도 관찰했다. 더 나아가 실제 난치성 뇌전증 환자 뇌 조직에서 ... ...
"과학자 꿈 위해 자퇴합니다"…서울대 이공계 1학년 자퇴생 매년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미국 유학길에 오를 예정이거나 이미 자퇴하고 해외 대학을 재학중인 학생들을
최근
만나 사정을 들어봤다. 저마다 이유는 다르지만 국내 최고 대학으로 여겨지는 서울대가 전세계 대학과의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계적인 과학자로 성장하는 데 서울대의 지원이 ... ...
[화보] 이글거리는 '태양 항해하는 고래'…올해의 천문사진 후보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태양의 모습이 담겼다. 태양 흑점과 필라멘트가 분출하며 추상적인 패턴을 만들었다.
최근
과학자들은 올해 말 태양의 활동이 극대기에 다다르며 지구에 영향을 주는 태양 폭풍이 지금보다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슈테판 리버만 제공 '버려진 집'이라는 제목의 사진은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