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응
순화
조화
순종
동화
융통
적합
뉴스
"
적응
"(으)로 총 1,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21%로 줄어든다.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새로운 것을 계속 배우고
적응
해야 하는 인간에게 망각은 기억만큼 자연스러운 뇌의 기능”이라면서 “강렬한 감정적인 경험과 함께 생긴 기억은 바로 지워지지 않고 오랫동안 저장되는 등 망각에도 일종의 법칙이 있다”고 말했다.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14
진화 과정은 알 수 없어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투구게가 다양한 환경에 나름대로
적응
한 결과 지금의 4종으로 나뉘었을 거라 생각하고 있지요. 또한 루나타스피스 아우로라 화석의 발견을 통해 투구게가 약 4억 5000만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온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보고 있답니다.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지아오얀 팡 상하이지아오통대 교수는 “판다의 특이한 식단에 판다의 장내미생물이
적응
하지 못한 것”이라며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학원(CAS)은 ‘사이언스’ 10일자에 판다의 꿈쩍도 않는 생활 습관과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원래 육식동물인 ... ...
[Health&Beauty]7000개 희귀질환 중 5%만 치료제 존재
동아일보
l
2015.07.08
미만 의약품만이 허가를 받은 것에 비해, 제정 이래로 30년간 400여 개 이상의 의약품(447개
적응
증)이 허가됐다. 식약처 관계자는 “희귀질환 치료제 등 신약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 ...
해마 꼬리가 각진 이유는?
2015.07.05
위해 생물을 유심히 관찰하는 로봇공학자나 기계공학자가 있다. 오랜 세월 환경에
적응
하며 진화해 온 생물은 나름의 모양과 기능을 갖추는데, 여기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와 오리건주립대, 벨기에 겐트대 등 ... ...
진돗개, 군견으로 성공할 수 있을까
2015.07.03
강해 군견으로서 기본적인 자질을 갖고 있다”면서 “특히 진돗개는 한국 산악 지형에
적응
된 품종인 만큼 군견으로 활용할 경우 고관절이 약한 셰퍼드보다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임무 수행 능력이 뛰어난 특수목적견의 체세포에서 핵을 추출해 일반 개의 난자에 치환해 넣는 ... ...
‘유전적 사촌’ 매머드와 코끼리, 뭐가 다를까요
2015.07.03
빈센트 린치 시카고대 교수는 “이번에 찾아낸 유전자는 매머드가 생존을 위해 빙하기에
적응
한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 ‘셀 리포트’ 2일자에 실렸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미션을 수시로 시행했다. 연습장과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
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스템 안정성 역시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로봇이 연습 때는 미션을 잘 수행하다가 현장에선 고장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다.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창업 ... ...
남극 ‘펭귄마을’은 안녕하신가요
2015.06.26
6개월이 더 걸린다”면서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서식지와 먹이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적응
하는지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3월 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천수만에 서식하는 청둥오리에 22g짜리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한 뒤 지금까지 서식지 이동 경로를 추적해오고 있다. -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중 특히 속을 썩이는 자식은 한국 토종인 ‘집바퀴’다. 남 연구원은 “원래 우리나라에
적응
한 바퀴벌레지만 인공 사육환경에는 잘 맞지 않는지 자기들끼리 잡아먹기 일쑤”라고 설명했다. 진드기와 바퀴벌레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만큼 연구실에서는 직접 두 생물에서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