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 만"(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가스 분출로 혜성이 폭발할 수도 있어. 또 만약 폭발로 혜성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면 함께 ... 그지점을 향해 필래를 분리시켰어.문제점3_ 매우 작은 중력이 혜성의 중력은 지구의 1만분의 1밖에 되지 않아. 그만큼 혜성이 탐사로봇을 끌어당기는 힘이 매우 작지. 다른 소행성이나 행성은 중력이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건조한 날에는 물을 거의 모을 수 없지만, 안개가 많이 끼는 날에는 40m2 넓이의 안개포집 ... 모으고 붙잡아 두는 성질을 가진 재질로 그물을 만드는 방법이었지요. 놀랍게도 이 아이디어는 ... 있어요. 그리고 이 등에는 0.5~1mm 간격으로 작은 돌기가 촘촘하게 나 있지요. 그런데 이 돌기는 물을 모으는 ... ...
-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불러요. 그 시대를 잘 알려 주기 때문이에요. 만화에 나온 화폐석 역시 신생대 제3기의 ... 96)A 이암과 셰일은 모두 진흙처럼 알갱이가 아주 작은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이에요. 이 가운데 특히 입자가 곱고 여러 개의 판으로 얇게 갈라지는 암석을 셰일이라고 불러요. 이암은 셰일과 달리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저 얼음 속에서 빛나는 게 유령? 으…, 무섭지만 유령입자를 찾으러 더 깊은 얼음 속으로 들어가 ... 전기적으로 중성이며, 질량이 0에 가까운 가장 작은 단위의 입자예요. 우주 먼 곳에 있는 블랙홀 같은 곳에서만 생길 수 있어서 과학자들은 중성미자를 통해 우주의 기원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 ...
- 스테고사우루스는 무서운 파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극장, 컴퓨터에서 나를 많이 봤을 거예요. 그만큼 쥐라기 시대를 대표하는 공룡이랍니다. 내 ... 말이에요. 그리고 나는 공룡 중에서 뇌가 가장 작은 편에 속해요. 풀을 뜯고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니는 데만 머리를 쓰면 되거든요. 지구 정복처럼 복잡한 일은 나한테 시켜도 별로 소용이 없을 걸요?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2억 50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 지질시대. 오래된 ... 비교적 서늘해졌던 백악기에는 작은 초식공룡이 많아졌다 ... 배에서는 소화되다 만 생선뼈 잔해 화석도 발견됐어요. 데이노케이루스가 식물은 물론, 작은 생선을 잡아먹고 살았던 잡식성 공룡이라는 증거랍니다. 2009년 몽골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음역 바로알기내 목소리를 확인하라!나쁘진 않지만 너무 무리했어. 대체 왜 부르지도 못할 높은 노래 ... 크고 똑똑한 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개미만큼 작은 소리나 짧은 호흡으로 고민이라면 24~25p에서 해결방법을 알아보자.□ 목소리가 어디에서 나오는지 알고, 듣기 좋은 목소리를 낼 수 있다.□ ...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말이에요.또 한 번 시간이 한참 흘렀어요. 한 6000만 년 정도로요. 그 사이 퇴적층은 땅 속에서 누르는 ... 일부는 아예 사라져 버렸죠. 그러느라 또한 1000만 년이 휘리릭 지나 버린 어느 날, 야트막한 산 속 작은 절벽에 석이와 아빠가 왔어요. 바위를 깎아내던 아빠는 작은 뼈를 발견하지요. 호숫가에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2008년에 4.6ha나 됐어. 지구에 우리나라 사람만 산다면 지구가 3개는 필요한 셈이지. 사실 ... 덜 쓸수록 생태발자국이 쑥쑥 줄어들 거야. 이런 작은 활동이 모여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지구도 건강하게 만든단다.★ 기업도 생물다양성 위해 노력해요다국적 기업인 ‘유니레버’는 열대우림을 보호하는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수신자의 몸 크기와 소리의 주파수예요.몸집이 작은 동물들은 소리가 오는 방향을 알기 어려워요. 몸집이 작은 만큼 양쪽 귀 사이 거리가 짧기 때문에 소리의 시간차와 세기의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아요. 귀뚜라미는 양쪽 귀 사이 거리가 약 1cm 미만인데, 이 차이는 시간으로 환산하면 33 마이크로초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