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d라이브러리
"
자신
"(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않아도 된다. 비록 물질대사나 생식 등의 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둥둥 떠다니다가
자신
에게 맞는 숙주를 찾는다면 언제든 이를 재개할 수 있다.실제로 대기 중에 떠다니다가 지상에 내려앉아 다시 활동하는 바이러스는 매우 많다. 2018년 커티스 셔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달할 수 있다. 수평적 유전자 이동은 미생물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이다. 하지만 HIV는
자신
의 유전자를 숙주 세포에 넣거나 뺄 수 있고 숙주 간 유전자 이동도 가능케 한다. 실제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양유전자(oncogene) 중 MYC, RAS 유전자는 바이러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졌다.유전체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활발한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
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자가면역반응을 일으키는 B림프구는 사멸하거나 무반응 B림프구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다. 이런 반응을 면역관용(immune-tolerence) 시스템이라고 한다. 면역관용 시스템이 제대로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사를 표한다”며 “나의 업적이 지나치게 높이 평가받은 것 같아서 두려웠지만 노벨이
자신
의 삶을 지식에 바친 학자에게 보상하고자 주는 상이란 점에서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T림프구의 킬러 본능은
자신
안에서만 발휘되는 셈이다. 면역세포가 작동하려면
자신
과 외부 물질을 동시에 인식해야 한다는 이들의 발견은 면역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평가)가 끝날 때까지 조용히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준비하는 대신 온라인을 통해
자신
이 알아낸 사실부터 먼저 공개했다.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 논문 초고 등록사이트인 ‘메드아카이브(medRxiv)’와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는 2020년 6월 20일 현재 코로나19와 관련한 논문 초고만 총 5459건이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대 1300km를 이동하기도 한다. 활동 반경이 넓은 박쥐 덕분에 바이러스는 효과적으로
자신
의 자손을 퍼뜨릴 수 있다. 게다가 박쥐는 군집 생활을 하는 동물이다. 바이러스가 어떤 숙주 집단에서 높은 감염력을 계속 이어가려면 집단의 개체수가 일정 수준을 넘어야 한다. 개체수가 너무 적으면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략을 구사한다.가령 대장균을 감염시키는 박테리오 파지인 T4 파지는 대장균의 DNA 속에
자신
의 유전체를 넣는데, 곧바로 자손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숙주세포와 함께 증식하면서 조용히 살아간다. 그러다 특정 자극을 받거나 바이러스를 퍼뜨리기 좋은 환경이 되면 폭발적으로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 셈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참가해
자신
의 생애를 인터뷰로 남겼다. 당시 자료에 따르면 델브뤼크는 “과학이 어떤 방법보다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일찍 깨달았다”며 “노벨상을 받았을 때 기뻤지만 영광에 압도당하지 않았으며,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혈액 속에 백혈구를 파괴하는 항체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생성된 항체들은 환자
자신
의 백혈구는 건드리지 않고 혈액 기증자의 백혈구만 파괴했다. 도세는 가계 분석을 통해 이식받은 환자의 몸속에서 거부반응을 결정하는 유전자 복합체인 ‘인간백혈구항원(HLA·human leukocyte antigen)’ 유전자를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